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그동안 국내학계에서는 말갈문화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일부 있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고구려나 발해문화와 비교해 공통점이나 차이점 등을 소개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발해의 기층문화인 말갈문화는 향후에 금과 청제국을 세운 여진족이나 만주족 문화 
의 원류가 되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지만 사료 
부족 등의 사유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실 사료 부족은 합당한 이유를 
찾은 것에 불과하고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주변국들의 연구 동향은 다르다. 러시아 및 중국 학계에서는 말갈문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으며, 일본 학계에서는 발해문화가 오호츠크문화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말갈문화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왔다.
국내학계에서 말갈문화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소외된 주된 이유는 연구자들이 
많이 없다는 이유도 있지만 더 중요한 요인은 우리 학계의 연구 경향이 발해문화가 
고구려 계통임을 강조하는 반면에, 중국 학계에서는 발해문화가 고구려 계통이 아님을 
강조하기 위해서 말갈문화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국내학계에서는 발해 
사를 온전하게 한국사로 편입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입장에 맞서서 발해의 말갈문화를 
부정해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까지 학계에 보고된 고고학적 발굴 성과와 후속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발해의 유적 및 유물에서 말갈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컸음을 부정할 수 없다.
기존 연구자들 중 일부는 말갈문화라는 개념을 실질적으로 말갈인들이 남긴 유적 
및 유물로 증명된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상층부, 즉 지배계층과 
는 다른 이질적인 문화 계통을 의미하는 고고학적 문화의 통칭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고고학적 관점으로 본 개념이다. 그런가 하면 실제로 발해라는 국가와 말갈이라는 종족 
집단 간의 민족 개념이 분명하게 고고학적 문화로 구분이 가능한 가에 대한 검증 없이 
두 문화의 차이를 종족 집단 간의 차이로 인식해 민족의 분리로 단정 지어왔다. 이 
또한 기존 말갈문화 연구의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말갈문화에 대한 제대로 된 연구가 이루어지려면 우선 말갈문화의 개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러시아가 최초 말갈문화 연구를 할 때 극동지역이라고 일컫는 아무르강 
유역과 연해주지역을 중심으로 발굴한 결과를 토대로 말갈문화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고구려 또는 발해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덜 미쳤던 지역이기 때문에 말갈문화가 온전 
하게 보존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말갈 집단의 영역은 요서 및 요동지역, 한반도 중, 
북부지역, 송화강 유역(속말말갈)과 두만강 유역(백산말갈)까지 다 아우르고 있기 때문 
에 시⋅공간의 개념을 확대 적용하여 말갈문화의 개념을 다시 정리하였다.
이렇듯 고구려 이전부터 말갈문화가 생성되어 발해를 거쳐 후대인 여진족까지 말갈 
문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는 점에서 말갈문화는 발해문화 연구에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말갈문화의 기원과 고구려 또는 발해문화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을 살펴봄으로써 역사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관점에서도 그 관계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후대 역사인 여진족의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해 봄으로써 동북아시 
아 문화에서 말갈문화의 위상을 재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3 <36권>영가무도의 계승현황 및 대중화 발전방안 -- 정안철 유중열 file 관리자 2024.06.09 656
362 <36권>「계사하」 제1장의 역철학적(易哲學的) 고찰 -- 김학순 임병학 file 관리자 2024.06.09 650
361 <36권>지리적 개념으로 본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 -- 윤병모 file 관리자 2024.06.09 662
» <36권>말갈문화의 기원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민성욱 file 관리자 2024.06.09 681
359 <36권>‘신유림(낭산)’의 선도제천문화와 그 성격 변화 과정 연구 -- 박주연 file 관리자 2024.06.09 655
358 (35권)해양오염, 기후위기, 그리고 홍익인간의 비전 : 지구시민의식의 형성을 중심으로 |나종팔 file 관리자 2024.01.27 1298
357 (35권)뇌기능 조절의 관점에서 바라본 선도 수행 : 지감⋅조식⋅금촉을 중심으로 |신혜숙 file 관리자 2024.01.27 1282
356 (35권)양자(量子)시대 세계관의 변경에 대한 동양 형이상학에서의 이해 : 부(附). 상수학적(象數學的) 기(氣)의 존재와 운동을 중심으로 |민영현 file 관리자 2024.01.27 1285
355 (35권)일제 강점기 중국에서의 개천절 기념식 연구 |조남호 file 관리자 2024.01.27 1300
354 (35권)「계사상」 제10장의 역철학적(易哲學的) 고찰 : 정역(正易)을 중심으로 |이종숙⋅임병학 file 관리자 2024.01.27 1288
353 (35권)양주동 소장본 규원사화의 발견과 그 의미 : 판본의 진위와 연대 문제를 중심으로 |임채우 file 관리자 2024.01.27 1300
352 (35권)과소결정과 증명의 이데올로기 |이승종 file 관리자 2024.01.27 1296
351 (35권)한국 ‘선도무예’의 현대적 계승과 ‘단무도’ |석혜인 file 관리자 2024.01.27 1295
350 [34권]서구적 건강 패러다임과 홍익인간사상의 통합적 사유: 건강한 지구촌을 위한 보완적 협력 |김광린 file 관리자 2023.03.19 1336
349 [34권]1920년대 한⋅일의 종교지형과 제휴활동: 오모토와 보천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철수 file 관리자 2023.03.19 1336
348 [34권]한국선도의 신인합일 전통에서 바라본 최수운의 시천주사상: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김윤숙 file 관리자 2023.03.19 1350
347 [34권]태백산 제천문화권, 대관령 ‘국사성황사’의 구조 및 신격 연구 |박지영 file 관리자 2023.03.19 1327
346 [34권]울진 후포리유적과 한반도 남부의 신석기 선도제천문화 |최수민 file 관리자 2023.03.19 1330
345 [34권]후기구석기의 후반기, 유럽지역 호모사피엔스의 ‘생명-공생문화’ |정경희 file 관리자 2023.03.19 1397
344 [34권]한국 고대의 진휼과 ‘공생정치’ |소대봉 file 관리자 2023.03.19 13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