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최근 고고학적 발굴의 성과가 축적되면서 아무르강과 오소리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에서 맥족계 선도제천문화의 특징을 고스란히 간직한 ‘구릉성 적석단총’유적이 발굴되면서 중기 신석기문화(서기전 7200∼서기전 6600년 경)의 내용적 성격이 드러나게 되었다. 아무르강 하류-연해주-한반도 동해안의 문화가 서로 관련된 문화임이 고고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한반도 동남해안 에 나타나는 신석기시대의 구릉성 단총과 아무르강과 백두산을 사이에 둔 흑수백산지 구의 구릉성 단총간에 형태적⋅내용적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지금까지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구릉성 단총은 그 문화의 내용성보다는 입지, 묘제, 장법, 두향, 부장품 위주로 연구되어 왔기에 단순히 사자의 무덤이란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에서 시작된 선도제천문화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면 단순한 무덤의 의미를 넘어 제천시설로 바라보게 된다.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는 ‘적석단총-옥⋅석기문화’로 선도제천문화임이 드러난 바 본고에서는 한반도 남부 신석 기시대 구릉성 석단총유적 중 흑수백산지구 선도제천문화의 전통을 반영한 전형적인 유적으로 울진 후포리유적을  조명해 보았다. 
울진  후포리유적은  야트막한 구릉상의  야산 정상부에 7개의 화강암괴로 둘러진 자연 구덩이를 이용하여 40여 구의 인골을 순차적으로 세골장한 집단 매장유적이다. 토기는 1점도  없이 180여 점의 장대형석부와  비, 관옥 등 옥⋅석기만을  부장하여  ‘구릉성 석단총’을  조성하였기에  ‘구릉성  석단총-옥⋅석기문화’로  볼 수 있어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계통의 선도제천문화로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 
소남산문화에 나타난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적석단총’은 사방에서 조망이 좋고 하늘과 가까운 탁 트인 공간 즉 ‘구릉지’라는 입지 조건, 무덤 조성시 돌을 이용하여 ‘적석’의 방식을 채용한 점에서 선도제천을 위한 구릉성 적석단총으로 바라보고, 단총내 제천 의기인  ‘옥⋅석기를  부장’한  측면에서  ‘구릉성 적석단총-옥⋅석기문화’로  바라본다.
울진 후포리유적 역시 ‘구릉지’라는 입지 조건, ‘화강암괴’로 둘러진 자연구덩이를 무덤으로 이용한 점, 제천 의기인 ‘옥⋅석기만을 부장’한 점 등을 들어 ‘구릉성  석단총- 옥⋅석기문화’로 바라보게 된다. 후포리 석단총의 묘주들은 후포리 지역사회에 선도제 천문화를 알리고 보급한 중심 인물들로 제천 의기인 마제석부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이자 선인층(仙人層)  즉 사제 계층의 일원이었으리라 미루어  짐작하게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0 [34권]서구적 건강 패러다임과 홍익인간사상의 통합적 사유: 건강한 지구촌을 위한 보완적 협력 |김광린 file 관리자 2023.03.19 23
349 [34권]1920년대 한⋅일의 종교지형과 제휴활동: 오모토와 보천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철수 file 관리자 2023.03.19 29
348 [34권]한국선도의 신인합일 전통에서 바라본 최수운의 시천주사상: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김윤숙 file 관리자 2023.03.19 27
347 [34권]태백산 제천문화권, 대관령 ‘국사성황사’의 구조 및 신격 연구 |박지영 file 관리자 2023.03.19 22
» [34권]울진 후포리유적과 한반도 남부의 신석기 선도제천문화 |최수민 file 관리자 2023.03.19 24
345 [34권]후기구석기의 후반기, 유럽지역 호모사피엔스의 ‘생명-공생문화’ |정경희 file 관리자 2023.03.19 30
344 [34권]한국 고대의 진휼과 ‘공생정치’ |소대봉 file 관리자 2023.03.19 23
343 [34권]한국선도와 ESG 경영의 공생 정신 |허성관 file 관리자 2023.03.19 22
342 (33권)신혜숙--명상 체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통합적 사고 체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07
341 (33권)이근철--「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총론 개정방안 연구」에 대한 비판: 교육이념 ‘홍익인간’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60
340 (33권)임비호--팔만대장경 보전의 홍익생태학적 함의 file 관리자 2022.10.12 111
339 (33권)지양미--부여 분국(分國) 과정 고찰 file 관리자 2022.10.12 72
338 (33권)이장웅--한국 고대 웅녀(熊女) 신앙의 전개와 국모신(國母神) 관념의 변화 file 관리자 2022.10.12 135
337 (33권)정경희--흑수백산지구 중기 신석기 옥석기문화의 양대 중심과 소남산문화류의 옥석기 조합 file 관리자 2022.10.12 86
336 (33권)유태용--한국 청동기시대 제의유적의 검토: 환구유구와 환상열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38
335 (33권_특별)소대봉--동아시아 선도문화 연구동향과 ‘한국선도’⋅‘한국도교’ 개념의 재검토 file 관리자 2022.10.12 101
334 (33권_특별)석상순--‘한국선도⋅중국도교⋅한국도교’ 구분론: 한국선도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방향 제안 file 관리자 2022.10.12 132
333 (25권_특별)어떻게 용서할까? 효과적인 용서의 이해와 전략 - 김광수 file 관리자 2022.05.18 91
332 (25권_특별)어떻게 사과해야 할까? -효과적인 사과의 구성요소 분석- 오영희 file 관리자 2022.05.18 135
331 (32권)박지영--은평구 ‘천부지모비’의 성격과 변천 과정 연구 file 관리자 2022.03.19 12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