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한국선도는 상고시대부터 자생하여 계승 발전된 한국 고유의 문화
이며 사상체계다. 한국선도 문화는 신시배달국을 거쳐 단군조선으로
이어져 오던 역사와 함께 한민족 사유체계의 뿌리를 제공하였고 한
국문화의 근저가 되었다. 하지만 단군조선이 쇠퇴하면서 한국선도의
전통은 차츰 그 한민족 전통 철학으로서 빛을 잃어갔다. 특히 삼국시
대 이후 중국에서 수입된 儒,佛,道에 밀려 퇴조 일로를 걸었다. 한
국선도는 근대 이후 민족종교 방식으로 소생하기 시작하였고, 특히
백두산 선도단체 계열인 백봉교단으로부터 선맥을 이어받은 대종교
는 한국선도 고유의 전통사상과 수행법을 올곧게 이어받았다. 대종
교는 일제의 식민정책에 거세게 반발하는 항일투쟁을 벌였다. 당시
일본에 의한 침략 시기에 최고의 공완활동은 항일독립운동이었기 때
문이다. 하지만 대종교는 일제의 잔혹한 탄압과 광복 후에 외래사상
에 밀려 크게 성장하지 못했다. 다행히도 한국선도는 현대에 이르러
심신수련법의 형태로 되살아나고 있으며 물질문명의 부정적인 측면
을 인식한 현대인들이 정신적인 수행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한국
선도의 본령인 선도수행의 원형이 회복되어가고 있다.
한국선도의 원형성을 판단함에 있어서 몇 가지 잣대를 살펴 보자
면, 우선 [천부경],[삼일신고], [참전계경]  등이 주요 경전이며 수
행의 방법으로 지감,조식,금촉의 삼법수행이 제시된다. 또한 존재
의 본질을 ‘일’로 보고 그 ‘일’을 ‘일기(一氣,三氣)’로 바라본다. ‘일’
을 이루고 있는 존재의 세 차원으로 ‘천,지,인’, ‘성,명,정’ 삼원
을 제시하는 삼일사상이 중심철학이며 더 나아가 ‘천,지,인’ 삼원
은 인체의 상,중,하단전에 연결된다. 그리고 환인,환웅,단군을
삼성(三聖)으로 모시는 스승의 전통을 견지하고 있으며 삶의 과정을
‘성통-공완-조천’으로 보는 수행관(생사관)과 ‘홍익인간,재세이화’
정신이 주요 특징이다.
대종교는 위에서 언급한 한국선도의 원형에 근접하고 있다. 나철
과 서일 및 김교헌, 윤세복 등 대종교 초기 지도자들이 보여 주었던
한국선도 수행의 원형인 ‘성통→ 공완→ 조천’의 삶은 한국선도 전통
부활이라고 부르기에 족하고 삶의 중심철학과 생사관이 뚜렷하지 않
은 현대인에게 삶의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소중한 귀감이 되어주기에
손색이 없다. 특히 나철과 서일이 보여준 조천과정은 전형적인 선도
수행으로 주목된다.
한국선도는 인간이면 누구나 지감,조식,금촉의 삼법수행을 통
하여 심신이 맑아지면 이미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신( )과 만나
게 되고, 그 신( )을 만나면 신( 신)의 속성인 사랑(德)과 지혜(慧)
와 힘(力-창조력)을 자연적으로 회복하게 된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
다. 인류가 만든 그 어떤 종교나 사상도 작금의 인류가 안고 있는 인
성회복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이미 많은 인류학자가 경고
하고 있다. ‘모두가 함께 조화롭게 잘살아 보자’는 한국선도의 ‘인성
회복운동’이 반드시 결실을 보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韓國仙道 수행 전통에서 바라본대종교 수행론.pdf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8 (20권)식민권력의 종교정책과 普天敎의 운명-김철수 file 관리자 2016.10.20 199
217 (20권)국학기공 명상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주의집중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228
216 (20권)고구려 첫 도읍 위치 비정에 관한 검토-임찬경 file 관리자 2016.10.20 379
215 (20권)小河沿문화유적 출토 ‘人形蚌飾’에 보이는 고조선 복식-박선희 file 관리자 2016.10.20 289
214 (20권)규원사화 연구성과와 과제-신운용 file 관리자 2016.10.20 519
213 (20권)노주 김영의의 생애와 사상적 좌표(1)-[삼일신고 주해]를 중심으로-박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198
212 (20권)한국의 유적 및 지명을 통해 본 ‘마고’의 원형-석상순 file 관리자 2016.10.20 315
211 (20권)‘단군’ 인식을 통해 본 오리엔탈리즘-이장희 file 관리자 2016.10.20 173
210 (20권)고유사상으로서의 風流道와 韓國仙道의 상호연관 및 그 實體에 관한 연구-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191
» (20권)韓國仙道 수행 전통에서 바라본 대종교 수행론-우대석 file 관리자 2016.10.20 251
208 (19권)長壽마을의 自然的 立地에 대한 風水的 考察-고제희 file 관리자 2016.10.20 154
207 (19권)동양미래예측학 ‘석하명리(奭廈命理)’의 일간(日干) 해석방법에 관한 연구-소재학 file 관리자 2016.10.20 296
206 (19권)선요가와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여성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율신경의 변화 - 구영회, 심준영 file 관리자 2016.10.20 228
205 (19권)경침 뇌파진동수련 프로그램이 당뇨 노인의 혈당, 우울,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남궁은하 외. file 관리자 2016.10.20 324
204 (19권)선찰대본산 범어사 입지의 풍수환경과 공간구성-박정해 file 관리자 2016.10.20 253
203 (19권)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2)-최근 논쟁에서의 몇가지 문제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171
202 (19권)삼국유사 고조선 기록에 나타나는 환인과 그 연대기-문치웅 file 관리자 2016.10.20 404
201 (19권)[구약성서]에덴신화와 [징심록]마고신화의 신⋅인론 비교 연구-김윤숙 file 관리자 2016.10.20 239
200 (19권)현대 ‘단군운동’의 새로운 전개와 ‘丹學’-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224
199 (19권)한글과 현대단학, 그리고 뇌교육-우리말 속에 깃든 정신-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184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