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본 연구는 한국인의 천신사상 속에 내재한 봉황의 형상과 의미를
고증하고, 삼국시대에서부터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 대한민국
에서 사용하고 있는 봉황형상의 변천과정을 연구하였다.
삼국시대의 봉황은 한국인의 천신사상 속에 내재한 신령스러운 瑞
鳥의 수호신이었다. 이러한 봉황의 모습은 통치자의 무덤이나 향로
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부처가 수호
신의 역할을 대신하였고, 봉황은 부처를 보호하기 위한 땅의 지명이
나 주변문화의 소재로 변화하였다. 중국송명대의 봉황은 공작새 꼬
리를 가진 화려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중국의 봉황은 날개를 접
고 있는 靜形이지만, 한국인의 전통 봉황은 날개를 활짝 펼치고 있는
活形이다. 조선시대의 봉황은 中國의 봉황처럼 공작새의 꼬리를 그
려 화려하지만 본래 모습은 잃어버렸다. 대한민국의 청와대를 상징
하는 봉황문양도 화려한 民畵같은 중국풍의 鳳이 되고 말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0 (20권)고유사상으로서의 風流道와 韓國仙道의 상호연관 및 그 實體에 관한 연구-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174
209 (20권)韓國仙道 수행 전통에서 바라본 대종교 수행론-우대석 file 관리자 2016.10.20 231
208 (19권)長壽마을의 自然的 立地에 대한 風水的 考察-고제희 file 관리자 2016.10.20 138
207 (19권)동양미래예측학 ‘석하명리(奭廈命理)’의 일간(日干) 해석방법에 관한 연구-소재학 file 관리자 2016.10.20 268
206 (19권)선요가와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여성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율신경의 변화 - 구영회, 심준영 file 관리자 2016.10.20 205
205 (19권)경침 뇌파진동수련 프로그램이 당뇨 노인의 혈당, 우울,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남궁은하 외. file 관리자 2016.10.20 305
204 (19권)선찰대본산 범어사 입지의 풍수환경과 공간구성-박정해 file 관리자 2016.10.20 234
203 (19권)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2)-최근 논쟁에서의 몇가지 문제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156
202 (19권)삼국유사 고조선 기록에 나타나는 환인과 그 연대기-문치웅 file 관리자 2016.10.20 377
201 (19권)[구약성서]에덴신화와 [징심록]마고신화의 신⋅인론 비교 연구-김윤숙 file 관리자 2016.10.20 209
200 (19권)현대 ‘단군운동’의 새로운 전개와 ‘丹學’-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192
199 (19권)한글과 현대단학, 그리고 뇌교육-우리말 속에 깃든 정신-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170
198 (19권)‘과학적’ 국어학의 유산-경성제대와 서울대-김영환 file 관리자 2016.10.20 202
197 (19권)해방 이후 조선어학회의 정치 지형-박용규 file 관리자 2016.10.20 147
196 (19권)주시경과 제자들의 단군에 대한 이해-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182
» (18권)한국인의 天神思想속의 鳳凰形象 硏究-민병삼 file 관리자 2016.10.20 144
194 (18권)삼척지역의 ‘제사 모셔가기’ 고찰-김태수 file 관리자 2016.10.20 338
193 (18권)연령대별 정신건강에 따른 자연치유법의 건강행태와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이토구 file 관리자 2016.10.20 204
192 (18권)차크라 명상 시 자율신경 및 두뇌 영역별 뇌파 특성의 변화-김종상,심준영 file 관리자 2016.10.20 360
191 (18권)‘에너지 집중력 스톤(Stone)’을 활용한 자석놀이가 초등학생의 집중력과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권택환 신재한 file 관리자 2016.10.20 265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