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 |
민생을 위한 백용(百用)의 실천가, 이지함. (김성환)
|
관리자 | 2016.10.21 | 83 |
222 |
易學에 있어서의 ‘先後天’과 ‘道義之門’ (송재국)
|
관리자 | 2016.10.21 | 83 |
221 |
국학의 관점에서 본 역사교육의 문제에 관한 연구 -고조선을 중심으로-김진경
|
관리자 | 2016.10.21 | 83 |
220 |
계보위축변천과정, 신구왕호 토픽 그리고 환단고기 신 진위검토방법(1)-박병섭박병훈
|
관리자 | 2016.10.21 | 84 |
219 |
李穀과 鄭--의 詞에 투영된 “蔚州八景” 형상 考(이태형)
|
관리자 | 2016.10.21 | 84 |
218 |
국학과 민세 안재홍의 정치사상 (김광린)
|
관리자 | 2016.10.21 | 84 |
217 |
「천부경」의 사상적 함의에 대한 簡論 (강욱)
|
관리자 | 2016.10.21 | 85 |
216 |
蘇塗와 神社-한⋅일 聖所文化의 親緣性에 관한 연구-김철수
|
관리자 | 2016.10.21 | 85 |
215 |
용서하는 인간-뇌교육적 인간학을 위한 시론(試論)-이승호
|
관리자 | 2018.10.01 | 85 |
214 |
「蘇塗經典本訓」에 나타난 三․一의 의미맥락(context)과 天符經의 철학사상. (민영현)
|
관리자 | 2016.10.21 | 86 |
213 |
도교적 사유체계와 그 相同ㆍ相異에 관한 연구 (민영현)
|
관리자 | 2016.10.21 | 86 |
212 |
<元曉不羈>>의 문화콘텐츠적 탐색 (이동근,정호완)
|
관리자 | 2016.10.21 | 86 |
211 |
「符都誌」의 콘텐츠에 관한 小考- “한”과의 중첩-박진규
|
관리자 | 2018.10.01 | 86 |
210 |
天符經의 ‘一’에 관한 우주론적 고찰. (이근철)
|
관리자 | 2016.10.21 | 87 |
209 |
예(濊)와 단군의 형태 (정호완)
|
관리자 | 2016.10.21 | 87 |
208 |
조선 및 한국 근대의 제천 문화 (이욱)
|
관리자 | 2016.10.21 | 87 |
207 |
泰安地域 巫俗人들의 종이 오리기 工藝에 대한 一考察 (신상구)
|
관리자 | 2016.10.21 | 87 |
206 |
해방 후 단군 인식의 변화와 문제 -단군영정과 단기연호를 중심으로-(임채우)
|
관리자 | 2016.10.21 | 87 |
205 |
국학의 관점에서 본 새검인정한국사교과서의 문제점-조선시대를 중심으로-김동환
|
관리자 | 2016.10.21 | 87 |
204 |
한국 근대 이후의 三一哲學에 관한 연구-이승호
|
관리자 | 2016.10.21 | 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