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
(23권)『周易』 雷火豊卦 「大象傳」의 原義 분석-권호용
|
관리자 | 2019.04.22 | 104 |
249 |
(23권)한·일 고대문화의 ‘소시모리(曾尸茂利)’와 ‘蘇塗’의 연관성-김철수
|
관리자 | 2019.04.22 | 136 |
248 |
(23권)고려 윤관이 개척한 동북9성의 위치 연구-이인철
|
관리자 | 2019.04.22 | 150 |
247 |
(23권)요하문명의 문화기호론적 탐색-최정숙
|
관리자 | 2019.04.22 | 97 |
246 |
(23권)홍익인간, 지구시민,그리고 지구경영- 김광린
|
관리자 | 2019.04.22 | 93 |
245 |
(23권)근대 독립운동과 역사연구 출발점으로서의 단군인식 검토-임찬경
|
관리자 | 2019.04.22 | 87 |
244 |
(23권)‘단(檀)’과 홍익인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어원을 중심으로-이찬구
|
관리자 | 2019.04.22 | 138 |
243 |
(23권)선도명상 수련자들의 영성과 리더십-서호찬,신혜숙
|
관리자 | 2019.04.22 | 73 |
242 |
(23권)타오의 생활문화-조남호
|
관리자 | 2019.04.22 | 72 |
241 |
논평) 중국철학에 대비되는 천부경의 특수성과 연구방법론에 대해-천부경에 나타난 도가 도교 사상을 읽고 (선도문화 13권-임채우)
|
관리자 | 2017.04.13 | 274 |
240 |
(22권)한자도 우리 글자인가?-논의의 맥락과 그 의의-김영환
|
관리자 | 2017.03.29 | 275 |
239 |
(22권)뇌교육 명상이 중학생의 마음챙김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이승호
|
관리자 | 2017.03.29 | 249 |
238 |
(22권)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영토 인식-조남호
|
관리자 | 2017.03.29 | 239 |
237 |
(22권)한민족의 문화유전자로 이어진 고조선문화-지양미
|
관리자 | 2017.03.29 | 281 |
236 |
(22권)요서지역 흥륭와문화기 마고여신상의 등장과 ‘마고제천’-정경희
|
관리자 | 2017.03.29 | 345 |
235 |
(22권)韓國 近代 新宗敎에 나타난 後天開闢思想 硏究-近代 民間 易學의 性格을 中心으로-송재국
|
관리자 | 2017.03.29 | 209 |
234 |
(22권)홍연진결에 내재된 한국 민간역학의 주제-최정준
|
관리자 | 2017.03.29 | 285 |
233 |
(22권)也山 李達 역학의 한국사상적 성격-임채우
|
관리자 | 2017.03.29 | 231 |
232 |
(22권)조선말 김항 정역사상의 역학사적 의의-양재학
|
관리자 | 2017.03.29 | 377 |
231 |
(22권)정감록에 나타난 역학적사유에 관한 고찰-이찬구
|
관리자 | 2017.03.29 | 2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