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본 연구는 密陽 嶺南樓의 문화 유적․유물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
사상으로 내려오고 있는 仙․佛․儒 문화를 고찰하되, 그 근간이
되는 선도문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에는 삼국시대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삼교(불교․유교․도교) 이전에 한국 고유의 전통사상인
仙道가 있었고, 이는 천부경 ․ 삼일신고 ․ 참전계경 의 경전을 통
해서 전해지고 있으며, 그 근본 철학의 핵심은 三元(天․地․人)사
상이다.
밀양 영남루에는 ‘영남루’, ‘천진궁’, ‘무봉사’와 ‘석조여래좌상’, ‘아
랑각’, 이외의 많은 문화유산들이 있는데, 한국선도의 전통을 이어
오고 있는 곳으로는 ‘舞鳳寺’와 ‘天眞宮’이 있다. 또 오늘날 밀양의
향토문화 축제인 ‘밀양아리랑대축제’에도 한국선도의 전통을 바탕으
로 仙․佛․儒 문화가 중층적․복합적으로 드러난다. 밀양 영남루
는 고대 이래로 선도의 전통, 仙․佛 습합의 전통, 유교문화의 전통
을 거쳐 오늘날 다시 한국선도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곳이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5 (12권)檀紀 年號 成立의 歷史的 背景 (김동환) file 관리자 2016.10.20 286
314 (12권)근현대 한국선도의 장생론 (안진경) file 관리자 2016.10.20 282
313 (12권)기공수련자의 수련 기간별 심박변이도 특성과 기분상태의 비교 분석.(심준영, 임영자) file 관리자 2016.10.20 259
312 (12권)단기 연호와 대한민국 임시정부 (김병기) file 관리자 2016.10.20 284
311 (12권)민생을 위한 백용(百用)의 실천가, 이지함. (김성환) file 관리자 2016.10.20 315
310 (12권)치우천왕과 운사 헌원 사이의 관계 (2). (박병섭) file 관리자 2016.10.20 316
309 (12권)한국 ‘光明’사상의 현대적 지속과 ‘虛空’의 인식 문제-‘생명전자 태양’과 ‘브레인스크린’을 중심으로- (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289
308 (12권)한국 신종교의 선도사상 연구 (나권수) file 관리자 2016.10.20 361
307 (12권)한국선도 수행의 실제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341
306 (12권)해방 후 단군 인식의 변화와 문제 -단군영정과 단기연호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88
305 (13권)「천부경」에 보이는 도가 도교 사상 (쑤덩푸) file 관리자 2016.10.20 332
304 (13권)「천부경」의 사상적 함의에 대한 簡論 (강욱) file 관리자 2016.10.20 299
303 (13권)仙敎의 종교적 본질과 현대적 계승(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331
302 (13권)正易에서의 윷판 해석론 (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360
301 (13권)국학과 민세 안재홍의 정치사상 (김광린) file 관리자 2016.10.20 299
300 (13권)권덕규의 단군 천부경 연구 (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316
299 (13권)김성수의 친일의식 형성과 전개 (신운용) file 관리자 2016.10.20 335
298 (13권)선불교의 내세관 소고 (윤관동) file 관리자 2016.10.20 285
297 (13권)시론 '長白山'과 '鴨綠水'의 위치 검토-고려이전을 중심으로- (고광진, 최원호, 복기대) file 관리자 2016.10.20 352
296 (13권)주역의 중천건 중지곤괘 용구용육 효사의 정역적 해석 (윤종빈) file 관리자 2016.10.20 66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