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선도문화 제6집
한국 상고사 연구에 있어서 고고학 응용에 관하여|복기대
 

세계 어느 나라를 역사를 보더라도 고대사를 연구하는 것은 쉬운
과정이 아니다.

무엇보다도 기록이 많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기록없는 약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고고학이라는 학문을 응용한다.
고고학이라는 학문의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사연구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아
니 한국은 고대사를 연구하는데 고고학이 더 중요한 나라이다. 그렇지
만 어떻게 응용을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한국사의 연구출발점을 어디서 시작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마냥
중국이나 일본학자들이 해석해주는 것을 그대로 받을 것인지 아니면
우리 스스로 해석을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기존의 방법대로 중국 사서를 처음 출발지를 삼을 것인지, 아니면
한국 사료로 출발할 것인지부터 결정을 해야 할 것이다. 그 다음에
고고학 자료를 응용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도 결정을 해야 한
다. 이렇게 먼저 출발점을 정해놓고 시작을 하면 출발지에 따라 결과
는 전혀 다른 것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글쓴이는 한국 사료로 출발을 하고 한국인의 눈으로 유물을 해석
하였다. 그 결과 요서 지역의 고대문화는 한국 상고사와 밀접한 관계
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지역은 최근 중국학계에서도 많은 관심을 두는 지역이다. 그렇
기 때문에 다행스러운 것이다. 만약 중국이 연구를 하지 않는다면 우
리가 어쩔 수 없는 상황인데 중국이 연구를 하고 있기 때문에 공동
으로 연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왕의 중국연구를 응용해본다면 한국사에서 가장 중요한 고조선
건국신화도 해석이 가능할 유적들이 발견조사 되었다. 이것은 고고
학을 통한 한국고조선 역사를 찾을 수 있다는 신호라고 볼 수 있다.
최근 중국은 하, 상, 주단대공정이라는 것을 하였다.
현실적으로 정치나 경제적으로 결코 큰일은 아니다. 아니 아주 작
은 미세한  일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그것이 가져온 결과는 너무
나 의외였다. 중국인들의 자존심을 또 한 번 살려준 중국현대사의 쾌
거였다.
중국은 이 공정을 하면서 오로지 그들만의 그들의 역사 연구결과
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철저한 고고학을 통한 연구를 통하여 하,
상, 주3대에 대한 시기구분을 한 것이다. 어쩌면 하상주단대공정은
고고학이라는 학문이 개발된 이후 가장 큰 효용성을 입증한 것이고,
또 중국인의 자존심을 세우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으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한국도 충분히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8 <27권>요서지역 거란 전탑에 관하여-백만달 file 관리자 2019.11.01 589
317 (32권)박지영--은평구 ‘천부지모비’의 성격과 변천 과정 연구 file 관리자 2022.03.19 586
316 (33권)지양미--부여 분국(分國) 과정 고찰 file 관리자 2022.10.12 584
315 (제28권)현대문명의 위기와 후천개벽 사상의 포스트모던적 함의/김철수 file 관리자 2020.03.19 581
314 (31권)한국선도의 성통⋅공완 전통으로 바라본 ‘선교’의 실천운동/최명희 file 관리자 2021.09.26 579
313 <27권>한국선도와 뇌교육-삼일신고를 중심으로-이승호 file 관리자 2019.11.01 578
312 (제28권-특별논문)고려 중, 후기 역사 서술문체의 다변화와 이승휴의 선택/심경호 file 관리자 2020.03.19 577
311 (제29권)한국민족종교사상(韓國民族宗敎思想)의 글로컬리티(Glocality)에 관한 연구/민영현 file 관리자 2020.10.11 577
310 (24권)최한기 측인법의 관상학적 접근-조규문 file 관리자 2019.04.22 576
309 (25권)신라 신왕의 장생불사론 - 신기(神器), 수(壽), 그리고 왕위계승법칙 - -박병섭 file 관리자 2019.04.22 575
308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유적 보존을 위한 시민운동 과정과 방향 연구--김영숙 file 관리자 2021.05.28 575
307 <26권_특별논문>풍류도의 현대적 계승, ‘참 멋’의 인간관으로 -범부 김정설의 풍류도적 음악관을 중심으로-박정련 file 관리자 2019.01.15 573
306 (31권)풍류화랑의 도덕교육 활용에 관한 기반 연구/신동의 file 관리자 2021.09.26 571
305 (33권_특별)소대봉--동아시아 선도문화 연구동향과 ‘한국선도’⋅‘한국도교’ 개념의 재검토 file 관리자 2022.10.12 570
304 <26권>동서양 양자역학에 내포된 교육학적 의미와 교수-학습방법 탐색-이철규,심준영 file 관리자 2019.04.22 568
303 (25권)광복 이후 초·중등 국사교과서의 ‘檀君朝鮮史’ 분야 개정 과정 연구-장지화 file 관리자 2019.04.22 565
302 <27권>일제감점기 강화의 마니산 참성단과 삼랑성에 대한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19.11.01 565
301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유적의 역사적 가치와 한국사회의 인식--장우순 file 관리자 2021.05.28 565
300 (33권)정경희--흑수백산지구 중기 신석기 옥석기문화의 양대 중심과 소남산문화류의 옥석기 조합 file 관리자 2022.10.12 565
299 <26권>‘과학적’ 국어학의 미망-김영환 file 관리자 2019.04.22 56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