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1990년대 중국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 정립 과정에서 백두산 서
편 고제단군중 가장 전형적인 홍산문화계 고제단으로 지목, 전면 발굴이
이루어졌던 만발발자 유적은 B.C.4000년~A.D.600년 무렵, 곧 배달국
~고구려시기 한민족의 주족인 맥족계의 선도제천문화가 성립·변천되어
가는 과정을 집약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더없이 귀한 유적이다. 유적은 제
천·주거·무덤시설로 이루어졌는데 제천시설이 중심이며 나머지 시설은
부속시설에 해당한다. 제천시설은 다시 1차 시설 ‘3층원단(모자합장묘)·
방대’, 2차 시설 ‘선돌 2주·적석 방단·제천사’로 나뉜다.
만발발자의 1차 및 2차 제천시설은 크게 보아 B.C.4000년~A.D.600
년 무렵(정식 발굴을 거쳤을 뿐아니라 가장 넓은 시기값을 지닌 만발발자
유적의 시기를 기준으로 함) 요동·요서·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나무솟대·제천사·선돌·고인돌류)’ 계통
으로 중원지역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형태였다.
중국측의 만발발자 유적 발굴은 애초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증
명하기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동북아 상고문화의 기원
과 계승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다. 첫째, 1980년대 이래 요
서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북아 상고사 연구를 요동 중심으로 돌려 놓았다.
둘째, 중원문화의 기원이 배달국 요동~요서 문화였음을 보여주었다. 셋
째, 중원문화가 배달국문화의 본령인 선도제천문화의 전형을 제대로 전
수하지 못하고 지역문화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결과를 수용할 수 없었
던 중국측은 만발발자 유적중 제천시설 부분을 은폐하며, 더하여 1990년
대 발굴조사되었던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 전체를 은폐하게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5 (31권)동북아 고고학에 나타난 배달국의 선도제천문화와 민족종교의 원형 회복/정경희 file 관리자 2021.09.26 1725
354 (31권)홍익인간사상과 홍익가족문화-고구려의 서옥제를 중심으로/이용수 file 관리자 2021.09.26 1722
353 [34권]후기구석기의 후반기, 유럽지역 호모사피엔스의 ‘생명-공생문화’ |정경희 file 관리자 2023.03.19 1712
352 (제28권)살풀이의 기원적 의미 재고-화랑과 화랭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정혜원 file 관리자 2020.03.19 1710
351 (제28권)현대문명의 위기와 후천개벽 사상의 포스트모던적 함의/김철수 file 관리자 2020.03.19 1707
350 (제28권-특별논문)고려 중, 후기 역사 서술문체의 다변화와 이승휴의 선택/심경호 file 관리자 2020.03.19 1702
349 (32권)박덕규--임나 7국의 위치에 대한 재론 file 관리자 2022.03.19 1693
348 (32권)윤병모--고조선의 패수와 왕검성 file 관리자 2022.03.19 1690
347 (제28권-특별논문)이승휴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 이해/이경룡 file 관리자 2020.03.19 1686
346 (33권)신혜숙--명상 체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통합적 사고 체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685
345 (33권)유태용--한국 청동기시대 제의유적의 검토: 환구유구와 환상열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681
344 <27권_특별강연>한국선도 신인합일 전통의 현대적 계승-만월도전 file 관리자 2019.11.01 1680
343 (33권)임비호--팔만대장경 보전의 홍익생태학적 함의 file 관리자 2022.10.12 1666
342 (30권)서학이 근대 민중종교운동에 미친 영향 - 민간 예언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21.05.28 1662
341 <27권>한민족 삼원론적 사유구조연구-박태봉 file 관리자 2019.11.01 1661
340 <27권>한국선도와 뇌교육-삼일신고를 중심으로-이승호 file 관리자 2019.11.01 1660
339 <27권>요서지역 거란 전탑에 관하여-백만달 file 관리자 2019.11.01 1658
338 (30권)해방공간(1945년-1947년)의 개천절 봉축 행사와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21.05.28 1658
337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유적 보존을 위한 시민운동 과정과 방향 연구--김영숙 file 관리자 2021.05.28 1657
336 (30권)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화인식 변화의 필요성 - 한국선도(韓國仙道)에 나타난 노년초월 개념을 중심으로--김일식 file 관리자 2021.05.28 165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