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고려사 「지리지」 서문에 “고려의 북방영토는 서북은 당(唐) 이후로
압록을 경계로 하였고, 동북은 선춘령을 경계로 하였다. 서북은 고구려
지역에 못 미쳤으나, 동북은 고구려 영토보다 더 북상하였던 것”으로 기
록하고 있다. 이러한 고려 국경 문제를 풀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단서인
동북9성의 위치에 대하여 한국사 교과서에는 “동북9성의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함흥평야 일대설’, ‘길주 이남설’, ‘두만강 이북설’ 등
여러 주장들이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아직 학계내
에서 동북9성의 위치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첫째, ‘길주 이남설’은 조선시대의 ‘정통론’이란 소중화(小中華)의 입
장에서 서술된 것으로써, 한백겸이 동국지리지에서 마운령 정상에 존
재하는 ‘석추구기(石樞舊基)’가 진흥왕순수비라는 것을 확인하지 못한
채, 윤관의 선춘령 정계비로 추정한 결과이다.
둘째, ‘함흥평야설’은 일제의 관학자들이 주장하였으며, 한반도와 만
주를 일제의 영구적 식민지로 만들려는 목적으로 조작한 식민사관 중의
반도사관에 의한 결과물이다.
셋째, ‘두만강 이북설’은 조선초기 기록인 고려사,
세종실록』 「지리
지」·용비어천가·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들을 토대로

연구되어졌으며,

동북9성은 두만강 이북 지역에 위치했었다고 서술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이들 문헌자료들의 거리와 지명 등을 근거로 현지를 답
사하여 고증한 결과, 동북 9성 위치를 비정하는 주요 지명인 공험진과
선춘령은 두만강 이북에 위치했었음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적으로 고찰하면, 조선초기에 두만강 이북에 있는 공험진 이남부
터는 조선의 관할 지역임을 주장하여 명으로부터 11처 지역의 여진 귀
속 문제를 승인 받았다. 이 사실들로 볼 때 조선 초기에는 공험진이 두
만강 이북에 있었다는 확고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인식 아

래 명과의 외교 교섭을 벌여 두만강 이북에 대한 관할권을 인정받은
것이다.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동북9성이 두만강 이북 700리에
실재했다는 사실을 한국사 교과서에 명확하게 기록해야 할 것이다. 또
한, 국경문제는 남북통일 이후 주변국과 매우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될
것이 분명하므로, 먼저 우리 학계 내부에서 국경문제와 관련한 연구를
더욱 심화시키고, 나아가 국가 차원의 연구 지원사업을 통해서 동북9성
이 고려 및 조선초기에 두만강 이북 현재의 흑룡강성 수분하 일대 및 연
변 등 길림성 일대의 지역에 있었다는 인식을 전제로 현재의 연해주 일
대까지 국가의 강역으로 경략하려 했다는 논의를 분명하게 정립할 필요
가 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8 (33권)임비호--팔만대장경 보전의 홍익생태학적 함의 file 관리자 2022.10.12 625
337 <27권>단군 48대 왕조사 자료발굴과 그 의의-임채우 file 관리자 2019.11.01 622
336 <27권_특별강연>한국선도 신인합일 전통의 현대적 계승-만월도전 file 관리자 2019.11.01 622
335 <26권_특별논문>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Ⅰ)-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620
334 (32권)박덕규--임나 7국의 위치에 대한 재론 file 관리자 2022.03.19 617
333 (33권_특별)석상순--‘한국선도⋅중국도교⋅한국도교’ 구분론: 한국선도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방향 제안 file 관리자 2022.10.12 617
332 (제28권-특별논문)1930년대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이승휴와 제왕운기에 대한 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20.03.19 613
331 <26권_특별논문>남북한의 단군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612
330 <27권>사제로서의 단군과 무당의 역할연구-김영숙 file 관리자 2019.11.01 610
329 (제28권)살풀이의 기원적 의미 재고-화랑과 화랭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정혜원 file 관리자 2020.03.19 607
328 (32권)윤병모--고조선의 패수와 왕검성 file 관리자 2022.03.19 605
327 (32권)송옥진--훈민정음 해례(解例)와 천부경(天符經)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file 관리자 2022.03.19 605
326 (31권)동북아 고고학에 나타난 배달국의 선도제천문화와 민족종교의 원형 회복/정경희 file 관리자 2021.09.26 604
325 (31권)한국 민족사학의 원형, ‘선도사학’/소대봉 file 관리자 2021.09.26 600
324 (31권)삼한시기 방제경(倣製鏡)의 형식과 변천과정-연구사 검토를 중심으로/홍인국 file 관리자 2021.09.26 599
323 (25권)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복기대 file 관리자 2019.04.22 596
322 (32권)정경희--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의 옥⋅석기 조합 연구 file 관리자 2022.03.19 596
321 (제28권-특별논문)이승휴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 이해/이경룡 file 관리자 2020.03.19 593
320 (제29권)곰의 변환과 결합에 관한 상징적 의미에 관하여/송현종 file 관리자 2020.10.11 592
319 <26권_자료소개>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대한 하마다 고사쿠의 논문-임찬경 file 관리자 2019.04.22 58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