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 |
일제감점기 강화의 마니산 참성단과 삼랑성에 대한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연구-조남호
|
관리자 | 2019.11.01 | 26 |
302 |
한민족 삼원론적 사유구조연구-박태봉
|
관리자 | 2019.11.01 | 35 |
301 |
사제로서의 단군과 무당의 역할연구-김영숙
|
관리자 | 2019.11.01 | 50 |
300 |
단군 48대 왕조사 자료발굴과 그 의의-임채우
|
관리자 | 2019.11.01 | 57 |
299 |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2-정경희
|
관리자 | 2019.11.01 | 70 |
298 |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대한 하마다 고사쿠의 논문-임찬경
|
관리자 | 2019.04.23 | 72 |
297 |
‘과학적’ 국어학의 미망-김영환
|
관리자 | 2019.04.23 | 42 |
296 |
내 안에서 나를 찾다 : 뇌교육명상 수련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신혜숙
|
관리자 | 2019.04.23 | 36 |
295 |
노화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 성공적 노화에서 인간완성으로-김일식,김계령
|
관리자 | 2019.04.23 | 27 |
294 |
동서양 양자역학에 내포된 교육학적 의미와 교수-학습방법 탐색-이철규,심준영
|
관리자 | 2019.04.23 | 50 |
293 |
홍주의병운동과 독립전쟁의 사회사상사적 의의-김철수
|
관리자 | 2019.04.23 | 26 |
292 |
전통문화유산과 대체의학의 융복합을 통한 활용 방안-정유창
|
관리자 | 2019.04.23 | 32 |
291 |
곤륜산과 백두산에 관한 한국의 유선문학과 수근목간 형세론-이경룡
|
관리자 | 2019.04.23 | 71 |
290 |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Ⅰ)-정경희
|
관리자 | 2019.04.23 | 73 |
289 |
4차 산업혁명시대의 신인합일적 전통 계승의 의미-서호찬
|
관리자 | 2019.04.23 | 21 |
288 |
남북한의 단군연구-조남호
|
관리자 | 2019.04.23 | 44 |
287 |
풍류도의 현대적 계승, ‘참 멋’의 인간관으로 -범부 김정설의 풍류도적 음악관을 중심으로-박정련
|
관리자 | 2019.04.23 | 45 |
286 |
광복 이후 초·중등 국사교과서의 ‘檀君朝鮮史’ 분야 개정 과정 연구-장지화
|
관리자 | 2019.04.23 | 48 |
285 |
신라 신왕의 장생불사론- 신기(神器), 수(壽), 그리고 왕위계승법칙 -박병섭
|
관리자 | 2019.04.23 | 43 |
284 |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복기대
|
관리자 | 2019.04.23 | 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