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선도문화 제31권>

 

1980년대 초∼1999년까지 이어진 요동⋅요서 일대의 고고학 성과는 위서 시비에 걸려 있던 선도사서들의 기록[신시배달국의 선도제천문화]과 대체 로 합치하였기에, 선도사서를 통하여 유교사관으로 왜곡되기 이전의 한국 상고⋅고대사를 바로 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 글에서는 중화주의 유교사학으로 왜곡되기 이전의 한민족 고유의 사상ㆍ 문화ㆍ역사인식에 기반한 한국 상고ㆍ고대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도적 세계관에 의한 역사인식[선도사관]에 의해 편찬되어 현재까지 전해지는 선 도사서를 모두 검토하여 선도사학에서 보이는 한국 상고ㆍ고대사 상을 종합ㆍ 정리하였다. 
다만 검토의 범위는, 한민족 고유의 사유체계와 제천의례ㆍ한민족 역사 의 시작ㆍ단군조선의 문화수준ㆍ역사 정통의 계승ㆍ한국고대사의 중심무 대인 고대 평양의 위치에 국한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교사서에 기록된 한국고대사와는 전혀 다른 한국 상고ㆍ고대사의 실상을 거칠게나마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유교사관에 의해 배제되고 덧칠되고 왜곡된 한국 상고ㆍ고대사를 정립(正立)할 수 있는 기준점을 세운다는 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 (31권)한국선도의 성통⋅공완 전통으로 바라본 ‘선교’의 실천운동/최명희 file 관리자 2021.09.26 1555
42 (25권_특별)어떻게 용서할까? 효과적인 용서의 이해와 전략 - 김광수 file 관리자 2022.05.18 1556
41 (31권)풍류화랑의 도덕교육 활용에 관한 기반 연구/신동의 file 관리자 2021.09.26 1556
40 <27권>요서지역 거란 전탑에 관하여-백만달 file 관리자 2019.11.01 1557
39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유적 보존을 위한 시민운동 과정과 방향 연구--김영숙 file 관리자 2021.05.28 1562
» (31권)한국 민족사학의 원형, ‘선도사학’/소대봉 file 관리자 2021.09.26 1563
37 (30권)일제시대 민족종교의 조직구성과 근대성 - 보천교를 중심으로--김철수 file 관리자 2021.05.28 1567
36 (30권)해방공간(1945년-1947년)의 개천절 봉축 행사와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21.05.28 1568
35 (제28권-특별논문)고려 중, 후기 역사 서술문체의 다변화와 이승휴의 선택/심경호 file 관리자 2020.03.19 1569
34 (30권)서학이 근대 민중종교운동에 미친 영향 - 민간 예언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21.05.28 1569
33 (32권)송옥진--훈민정음 해례(解例)와 천부경(天符經)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file 관리자 2022.03.19 1571
32 (33권)임비호--팔만대장경 보전의 홍익생태학적 함의 file 관리자 2022.10.12 1573
31 <27권>한민족 삼원론적 사유구조연구-박태봉 file 관리자 2019.11.01 1575
30 <27권_특별강연>한국선도 신인합일 전통의 현대적 계승-만월도전 file 관리자 2019.11.01 1575
29 (제28권)살풀이의 기원적 의미 재고-화랑과 화랭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정혜원 file 관리자 2020.03.19 1582
28 [34권]후기구석기의 후반기, 유럽지역 호모사피엔스의 ‘생명-공생문화’ |정경희 file 관리자 2023.03.19 1582
27 (제28권-특별논문)이승휴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 이해/이경룡 file 관리자 2020.03.19 1584
26 <27권>단군 48대 왕조사 자료발굴과 그 의의-임채우 file 관리자 2019.11.01 1590
25 (32권)윤병모--고조선의 패수와 왕검성 file 관리자 2022.03.19 1590
24 (32권)박덕규--임나 7국의 위치에 대한 재론 file 관리자 2022.03.19 1593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