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선도문화 제5집
天符經의 易學的 意義 | 최정준

 

이 글은 천부경의 삼재론과 주역의 음양론을 筮法의 관점에서 비
교해본 것이다. 비교는 주역의 서법과 황극내편의 서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왜냐하면 역학사적 관점에서 볼 때, 주역의 서법과
황극내편의 서법은 각각 음양론과 삼재론을 대표하는 성격을 지
닌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주역의 음양론과 천부경의 삼재론이 서법이라는 구체적인 영역에
적용되었을 때, 이 둘은 상함(相含)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즉 주역

서법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본 틀은 기수(奇數)와 우수(偶數)라는
음양구도와 一變 二變 三變이라는 삼재구도의 결합이다. 홍범 서법
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틀 또한 강(綱)과 목(目)이라는 음양구도와
각각의 자리에 1이나 2나 3이 오는 삼재구도의 결합이다.
둘 다 공통적으로 음양과 삼재를 상함(相含)하는 六을 공통분모
로 하는 구조이지만 자리와 운용은 달랐다. 자리를 셋으로 놓고 운
용을 둘로 하면 8괘이고 자리를 둘로 놓고 운용을 셋으로 하면 9수
이다. 주역은 8괘를 거듭한 64괘이고 천부경과 홍범황극내편(洪範皇
極內篇)은 9수를 거듭한81수이다. 이러한 64괘나 81수의 상이함이
筮法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결국 천부경이 지니고 있는 핵심수리인 삼재론이 易學, 특히 筮
法이라는 영역에 적용될 때 주역과는 그 운용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 (8권)삼국ㆍ고려시대의 제천의례와 문제(박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343
54 (7집)[특별기고]주역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초청강연 file 관리자 2016.10.20 448
53 (7집)한국의 태권도와 선도 (박성수) file 관리자 2016.10.20 292
52 (7집)예(濊)와 단군의 형태 (정호완) file 관리자 2016.10.20 251
51 (7집)선도수련에서의 뇌 개념의 의의 (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329
50 (7집)삼일신고 독경 연구 (조준희) file 관리자 2016.10.20 319
49 (7집)도교적 사유체계와 그 相同ㆍ相異에 관한 연구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271
48 (7집)고구려 주몽왕의 계보와 건국 장소 및 시점 (박병섭) file 관리자 2016.10.20 811
47 (6집)홍익인간사상에서 신인합일론 소고 (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343
46 (6집)한국선도문헌의 연구사 소고 (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273
45 (6집)한국 상고사 연구에 있어서 고고학 응용에 관하여-요서 지역 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복기대) file 관리자 2016.10.20 385
44 (6집)참전경(參佺經) 해제(解題)와 그 문화사상적 의의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283
43 (6집)여말 학계와 天符經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289
42 (6집)선도사서 규원사화 해제-위작설에 대한 쟁점을 중심으로- (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418
41 (6집)선가 자료 청학집 의 자료적 검토(김성환) file 관리자 2016.10.20 393
40 (6집)박병섭, 삼성기 전 상하편에 숨겨진 사실들 (박병섭) file 관리자 2016.10.20 474
39 (6집)檀奇古史의 판본과 문제 (박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384
» (5집)天符經의 易學的 意義 -皇極內篇과 周易의 서법(筮法)을 중심으로-(최정준) file 관리자 2016.10.20 415
37 (5집)韓國 仙道 運氣丹法 으로 바라본 대맥운기수련 효과-한국선도 대맥운기 고찰 및 효과- (좌성민) file 관리자 2016.10.20 910
36 (5집)제주도 ‘돌하루방’ 에 나타난 한국의 선도문화 (장지국) file 관리자 2016.10.20 421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