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 |
(20권)이희승의 [딸깍발이]에 나타난-‘과학적’ 국어학과 연관하여-김영환
|
관리자 | 2016.10.20 | 515 |
154 |
(20권)알아차림 명상과 미술치료가 성인학습자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영향-김교옥
|
관리자 | 2016.10.20 | 557 |
153 |
(20권)명리직업선천성과 진로탄력성,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김기승
|
관리자 | 2016.10.20 | 494 |
152 |
(21권)대종교의 삼신일체론-삼국유사와 비교- -조남호
|
관리자 | 2016.10.20 | 567 |
151 |
(21권)환단고기의 삼신 하느님에 관한 고찰-이찬구
|
관리자 | 2016.10.20 | 581 |
150 |
(21권)선교(仙敎)의 창교 배경과 신관 연구-불광선인(佛光仙人)을 중심으로- 윤한주
|
관리자 | 2016.10.20 | 550 |
149 |
(21권)노주 김영의의 생애와 사상적 좌표(2)-삼일신고 주해를 중심으로- -박미라
|
관리자 | 2016.10.20 | 563 |
148 |
(21권)삼국사기 말갈(靺鞨)에 대한 기록 검토-송옥진
|
관리자 | 2016.10.20 | 702 |
147 |
(21권)고구려 외교의 성격과 규모 대한 분석-외교가 무역과 전쟁에 끼친 영향- -이정훈
|
관리자 | 2016.10.20 | 649 |
146 |
(21권)강증산 사상에 나타난 선도관(仙道觀) 연구-김귀만
|
관리자 | 2016.10.20 | 657 |
145 |
(22권)정감록에 나타난 역학적사유에 관한 고찰-이찬구
|
관리자 | 2017.03.29 | 586 |
144 |
(22권)조선말 김항 정역사상의 역학사적 의의-양재학
|
관리자 | 2017.03.29 | 636 |
143 |
(22권)也山 李達 역학의 한국사상적 성격-임채우
|
관리자 | 2017.03.29 | 424 |
142 |
(22권)홍연진결에 내재된 한국 민간역학의 주제-최정준
|
관리자 | 2017.03.29 | 515 |
141 |
(22권)韓國 近代 新宗敎에 나타난 後天開闢思想 硏究-近代 民間 易學의 性格을 中心으로-송재국
|
관리자 | 2017.03.29 | 493 |
140 |
(22권)요서지역 흥륭와문화기 마고여신상의 등장과 ‘마고제천’-정경희
|
관리자 | 2017.03.29 | 589 |
139 |
(22권)한민족의 문화유전자로 이어진 고조선문화-지양미
|
관리자 | 2017.03.29 | 495 |
138 |
(22권)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영토 인식-조남호
|
관리자 | 2017.03.29 | 501 |
137 |
(22권)뇌교육 명상이 중학생의 마음챙김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이승호
|
관리자 | 2017.03.29 | 450 |
136 |
(22권)한자도 우리 글자인가?-논의의 맥락과 그 의의-김영환
|
관리자 | 2017.03.29 | 4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