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선도문화 제30권>

 

한국문화는 오랜 기간동안 주변 문화와의 교류를 통해 전통적인 유불선 삼교의 유입과 발전을 거듭함은 물론, 고조선 시대부터 내려오는 전통문화 사상인 한국선도의 유출 및 확산이 오늘날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전 세계에서 부는 K-food, K-fashion, K-style 및 각종 K-culture 역시 전통문화와 함께 끊임없이 주변 문화와 교류한 결과물이라 볼 수 있다. 그러 나 고대 동아시아의 교류에 대한 인식, 특히 기록이 소실되어 다양한 문헌 자료로 증빙되지 않는 고조선 시대의 교류에 대해서는 외부로부터 일방적 문화유입을 전제하고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지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 대, 고조선시대 해상교역이라 한다면 대부분의 연구결과물에서는 관자에 나오는 발조선과의 모피교역을 그 상한으로 보고 있고 이조차도 관자가 집필된 시기와의 시간적 괴리감을 들어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고대 동아시아교역에 대한 인식을 먼저 살펴보고 고조선문화로 추정되는 하가점하층문화의 대표 유적인 대전자유적에서 출토된 납돈을 가지고 고대 해상교역의 인식범위가 기존 연구의 인식범위보다 훨씬 광범위 함을 설명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 (25권)신라초 북부여계 파소·박혁거세의 단군조선 계승과 태백산의 마고제천-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1452
142 (25권)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복기대 file 관리자 2019.04.22 1290
141 (25권_특별)선도문화와 용서-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624
140 (25권_특별)어떻게 사과해야 할까? -효과적인 사과의 구성요소 분석- 오영희 file 관리자 2022.05.18 1642
139 (25권_특별)어떻게 용서할까? 효과적인 용서의 이해와 전략 - 김광수 file 관리자 2022.05.18 1556
138 (25권_특별)용서하는 인간-뇌교육적 인간학을 위한 시론(試論)-이승호 file 관리자 2019.04.22 664
137 (2집)『符都誌』에 나타난 韓國仙道의 ‘一·三論’.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233
136 (2집)天符經 硏究史 小考. 이형래 file 관리자 2016.10.20 254
135 (2집)天符經의 ‘一’에 관한 우주론적 고찰. 이근철 file 관리자 2016.10.20 247
134 (2집)天符經의 數理哲學과 그 形而上學.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281
133 (2집)과정과 ‘한’의 공공철학의 만남. 김용환 file 관리자 2016.10.20 217
132 (2집)근본 생태주의의 눈으로 본 단군신화와 마고신화. 조정옥 file 관리자 2016.10.20 292
131 (2집)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단군조선 인식. 강병수 file 관리자 2016.10.20 262
130 (2집)천부경의 無와 과정철학. 이찬구 file 관리자 2016.10.20 254
129 (2집)천부경의 연구사 정리(2)-기독교와 불교적 해석-. 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286
128 (30권)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화인식 변화의 필요성 - 한국선도(韓國仙道)에 나타난 노년초월 개념을 중심으로--김일식 file 관리자 2021.05.28 1546
» (30권)대전자유적 납돈(鉛貝)에 나타난 고대 해상교류의 인식범위--송옥진 file 관리자 2021.05.28 1545
126 (30권)서학이 근대 민중종교운동에 미친 영향 - 민간 예언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21.05.28 1569
125 (30권)일제시대 민족종교의 조직구성과 근대성 - 보천교를 중심으로--김철수 file 관리자 2021.05.28 1567
124 (30권)해방공간(1945년-1947년)의 개천절 봉축 행사와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21.05.28 1569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