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이 글은 주시경과 그의 제자들의 단군에 대한 이해를 종교적 문화
적 언어적 역사적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주시경은 일본의 침략에
맞서 정신을 보존해야겠다는 결심으로 기독교에서 대종교로 개종하
였다. 그는 본체론에서 가장 궁극적인 존재를 일, 본성, 천, 리라고
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깨달음에서 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깨달음
은 대종교를 통해서 얻은 것이다. 언어적인 측면에서 그는 단군시대
의 언어가 있었고, 그것은 중국과 달리 독자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
다. 이러한 사고는 그의 제자들에게 계승되어진다. 종교적인 측면에
서 이병기와 권덕규는 대종교 경전번역사업에 참여하고, 삼신일체론
을 주장한다. 문화적 측면에서, 이윤재는 개천절이 경축절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국민국가의 정체성을 주장하였고, 백두산의 의
의에 대해서 최현배는 당시를 동방 대 서방의 대결로 보고, 아시아
동방의 백두산에 단군이 내려와서 밝은 빛을 맞이하여 서방의 암흑
세계에 빛을 준 것이라고 하여 백두산이 가지는 지정학적 의미를 강
조한다. 홍익인간의 정신에 대해서 최현배는 기독교의 창세기 신화
가 천국에서 지상에서 추락한 데 비하여 우리신화는 홍익인간을 통
해 인류를 구제하려고 지상에 강림한 것이라고 한다. 정열모와 이병
기는 우리가 한글과 단군을 통해서 세계의 문명국가이었다고 한다.
언어적 측면에서 최현배와 권덕규는 주시경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 말과 글이 단군때부터 있었고, 그것이 면면히 이어져 내려왔고,
그것이 조선심과 조선혼이 되었다고 한다. 역사적인 측면에서 이들
은 단군조선을 높이고 기자조선을 낮추는데, 기자조선이 조선의 서
쪽에 있었다는 주장과 아예 기자조선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주장으로
나뉜다. 전자는 권덕규, 김윤경, 신명균이고 후자는 이윤재이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3 (20권)고유사상으로서의 風流道와 韓國仙道의 상호연관 및 그 實體에 관한 연구-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350
182 (20권)식민권력의 종교정책과 普天敎의 운명-김철수 file 관리자 2016.10.20 350
181 (1집)백봉신사(白峯神師)의 도통전수(道統傳授)에 관한 연구-조준희 file 관리자 2016.10.20 348
180 (19권)‘과학적’ 국어학의 유산-경성제대와 서울대-김영환 file 관리자 2016.10.20 344
179 (24권)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확대와 백두산의 ‘仙道 祭天’ 전통-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344
178 (4집)密陽 嶺南樓를 통해 본 韓國의 仙道文化 I 윤병유 file 관리자 2016.10.20 342
177 (1집)中國道家와 道敎 그리고 韓國 仙의 사상에 관한 비교연구-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340
176 (2집)천부경의 연구사 정리(2)-기독교와 불교적 해석-. 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340
175 (9권)철령위 위치에 대한 재검토 (복기대) file 관리자 2016.10.20 338
174 (16권)正易에서 본 ‘윷놀이’의 易學的 의미-임병학 file 관리자 2016.10.20 338
173 (17권)[특집]<고등학교 한국사>에 나타난 삼국∼고려시대의 국학사상 -양은용 file 관리자 2016.10.20 335
172 (2집)天符經의 數理哲學과 그 形而上學.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334
171 (19권)해방 이후 조선어학회의 정치 지형-박용규 file 관리자 2016.10.20 334
170 (3집)천부경의 기호학적 의미 (선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333
169 (12권)한국 신종교의 선도사상 연구 (나권수) file 관리자 2016.10.20 331
168 (19권)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2)-최근 논쟁에서의 몇가지 문제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328
167 (19권)長壽마을의 自然的 立地에 대한 風水的 考察-고제희 file 관리자 2016.10.20 328
166 (1집)한의 개념에 관한 연구-천부경의 일(一)을 중심으로- -이근철 file 관리자 2016.10.20 327
165 (23권)고려 윤관이 개척한 동북9성의 위치 연구-이인철 file 관리자 2019.04.22 326
164 (5집)중국의『天符經』연구에 대한 소론(小論)-국희(鞠曦) 교수의 天符經論을 중심으로- (임태현) file 관리자 2016.10.20 325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