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인간 생명의 기원 물질은 精이고, 이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원동
력은 氣이며, 생명 현상은 神으로 표현된다. 본고에서는 精을 위주로
고대철학의 精과 비교하여 [東醫寶鑑] 精의 개념과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東醫寶鑑]의 精氣神 理論 중에서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精과 연
관된 문헌을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여 精의 개념과 의미를 파악하여
철학적 개념의 精과 동양의학적 精의 상관성과 차이점을 고찰하였
다. 그리고 동양의학의 이론 정립과 임상에서 매우 중요한 先天之精
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東醫寶鑑]의 先天之精 약물
의 四氣와 五味 및 歸經 등을 색인하여 본초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철학적인 관점에서의 精은 추상적이고 무형적인 개념이지만, [東
醫寶鑑]에서의 精은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개념으로 크게 先天之精과
後天之精으로 양분된다. 무병장수를 위해 先天之精 못지않게 後天之
精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先天之精 문제로 야기
된 질병의 치유나 건강한 장수를 위해 先天之精으로의 전환에 도움
이 되는 약물의 四氣는 따뜻하고 平하며, 五味는 단맛과 쓴맛으로 나
타났고, 歸經은 腎과 肝으로 귀속되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3 (20권)식민권력의 종교정책과 普天敎의 운명-김철수 file 관리자 2016.10.20 351
182 (6집)선가 자료 청학집 의 자료적 검토(김성환) file 관리자 2016.10.20 350
181 (1집)백봉신사(白峯神師)의 도통전수(道統傳授)에 관한 연구-조준희 file 관리자 2016.10.20 348
180 (19권)‘과학적’ 국어학의 유산-경성제대와 서울대-김영환 file 관리자 2016.10.20 344
179 (24권)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확대와 백두산의 ‘仙道 祭天’ 전통-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344
178 (4집)密陽 嶺南樓를 통해 본 韓國의 仙道文化 I 윤병유 file 관리자 2016.10.20 342
177 (2집)천부경의 연구사 정리(2)-기독교와 불교적 해석-. 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341
176 (1집)中國道家와 道敎 그리고 韓國 仙의 사상에 관한 비교연구-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340
175 (9권)철령위 위치에 대한 재검토 (복기대) file 관리자 2016.10.20 338
174 (16권)正易에서 본 ‘윷놀이’의 易學的 의미-임병학 file 관리자 2016.10.20 338
173 (17권)[특집]<고등학교 한국사>에 나타난 삼국∼고려시대의 국학사상 -양은용 file 관리자 2016.10.20 336
172 (2집)天符經의 數理哲學과 그 形而上學.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335
171 (19권)해방 이후 조선어학회의 정치 지형-박용규 file 관리자 2016.10.20 335
170 (3집)천부경의 기호학적 의미 (선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333
169 (12권)한국 신종교의 선도사상 연구 (나권수) file 관리자 2016.10.20 331
168 (19권)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2)-최근 논쟁에서의 몇가지 문제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328
167 (19권)長壽마을의 自然的 立地에 대한 風水的 考察-고제희 file 관리자 2016.10.20 328
166 (1집)한의 개념에 관한 연구-천부경의 일(一)을 중심으로- -이근철 file 관리자 2016.10.20 327
165 (24권)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의 화랑도 연구- 일본 학자들의 화랑연구 비판을 통한 -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327
164 (23권)고려 윤관이 개척한 동북9성의 위치 연구-이인철 file 관리자 2019.04.22 326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