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이 글은 3.1혁명과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저평가와 그 폄훼 원인을 밝
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글쓴이는 이 글에서 국권회복 이전 3.1
혁명과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평가와 인식을 살펴보았다. 1919년 3월 1
일 이후 3.1혁명과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평가와 인식은 민족주의 세력과
공산주의 세력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민족주의 세력은 3.1혁명을
혁명이라고 규정하면서 민족대표에 대해 ‘현인’ 또는 ‘한민족사를 되살린
인물’들로 평가하였다.
반면, 공산주의 세력은 1923년 무렵까지는 민족주의 세력과 거의 같
은 입장이었다. 하지만 소비에트 연해현 공산당 고려부 기관지 『선봉』의
1925년 3월 1일자 기사를 시발로 ‘실패한 부르조아민족운동’이라는 평가
로 완전히 바뀌게 되었다. 이제 3.1혁명은 실패한 부르조아 민족주의의
마지막 단계로, 민족대표 33인은 “몽매무지하고 계급의식이 없는 종교
가”로 폄하되었고 3.1혁명 기념식은 폐지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민족해방운동에 관한 논조」(1928. 3)에 이은 「조선문제
에 대한 코민테론 집행위원회의 결의(12월테제)」(1928. 12)로 공식화되었
다. 12월 테제는 ‘민족주의자들의 분열과 탈락’, ‘토지혁명 투쟁과 노동자
계급 헤게모니의 부재’ 등이 3.1혁명의 실패 원인으로 제시되었다. 이후
한국 공산주의 세력은 이를 비판 없이 그대로 수용하여 프로레타리아혁
명 이론으로 채용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공산주의 세력의 3.1혁명에 대한
기본인식으로 고정화되었다.
결론적으로 3.1혁명에 대한 폄하는 공산주의 세력의 3.1혁명에 대한 기
본인식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5 (제28권)국권회복(1945년) 이후 ‘3.1혁명’에 대한 평가·인식 및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20.03.19 1657
294 (제28권)살풀이의 기원적 의미 재고-화랑과 화랭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정혜원 file 관리자 2020.03.19 1723
293 (제28권)배달국 초 백두산 천평문화의 개시와 한민족(예맥족·새밝족·맥족)의 형성/정경희 file 관리자 2020.03.19 1898
292 (제28권-특별논문)1930년대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이승휴와 제왕운기에 대한 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20.03.19 1738
291 (제28권-특별논문)고려 중, 후기 역사 서술문체의 다변화와 이승휴의 선택/심경호 file 관리자 2020.03.19 1719
290 (제28권-특별논문)이승휴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 이해/이경룡 file 관리자 2020.03.19 1694
289 <27권_특별강연>한국선도 신인합일 전통의 현대적 계승-만월도전 file 관리자 2019.11.01 1684
» <27권>국권회복(1945)이전 '3.1혁명'에 대한 평가-인식과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19.11.01 1600
287 <27권>요서지역 거란 전탑에 관하여-백만달 file 관리자 2019.11.01 1665
286 <27권>8세기경 평양성의 위치 추정-고광진 file 관리자 2019.11.01 1744
285 <27권>한국선도와 뇌교육-삼일신고를 중심으로-이승호 file 관리자 2019.11.01 1673
284 <27권>일제감점기 강화의 마니산 참성단과 삼랑성에 대한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19.11.01 1618
283 <27권>한민족 삼원론적 사유구조연구-박태봉 file 관리자 2019.11.01 1671
282 <27권>사제로서의 단군과 무당의 역할연구-김영숙 file 관리자 2019.11.01 1617
281 <27권>단군 48대 왕조사 자료발굴과 그 의의-임채우 file 관리자 2019.11.01 1788
280 <27권>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II)-정경희 file 관리자 2019.11.01 1589
279 <26권_자료소개>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대한 하마다 고사쿠의 논문-임찬경 file 관리자 2019.04.22 1533
278 <26권>‘과학적’ 국어학의 미망-김영환 file 관리자 2019.04.22 1489
277 <26권>내 안에서 나를 찾다 : 뇌교육명상 수련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신혜숙 file 관리자 2019.04.22 1350
276 <26권>노화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 성공적 노화에서 인간완성으로-김일식,김계령 file 관리자 2019.04.22 137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