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이 글은 선도문화와 용서에 대해서 고찰한 글이다. 여기서 선도문화는
한국 고유의 지감 조식 금촉을 내용으로 한다. 특히 지감 조식에는 용서
와 관련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먼저 남의 잘못을 용서할 수 있는가 아닌
가의 문제가 고민이 될 때, 절 수련을 하면 된다. 절수련을 하게 되면 자
신의 숨겨져 있던 본성을 깨닫게 되고, 본성의 명령에 따라 처리를 하면
된다. 다음으로 정작 남을 용서하려고 해도 나의 감정이 문제가 된다. 감
정을 처리하는 경우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바라만 보아도 감정에서 벗어
날 수 있다. 이것이 지감(명상)수련이다. 지감수련을 하게 되면 감정이 내
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감정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호흡수
련(조식)을 통해 하단전에 기운이 채워져야 한다. 기운이 채워진 사람이
강한 사람이고 용기있는 사람이다. 더 나아가 중단전의 기운이 커지게 되
면, 가슴이 열리고 사랑이 넘쳐 흘러 남을 용서할 수 있는 것이다. 나의
잘못을 용서하는 경우는 참회를 하면 된다. 수승화강을 하는 경우 자신의
내면 속에 있었던 잘못을 인정하고 참회를 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선도문화의 수행전통은 용서와 치유를 해결하는데 적극적인 역할
을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3 (25권)「符都誌」의 콘텐츠에 관한 小考 - “한”과의 중첩 - -박진규 file 관리자 2019.04.22 1293
262 (25권_특별)용서하는 인간-뇌교육적 인간학을 위한 시론(試論)-이승호 file 관리자 2019.04.22 660
» (25권_특별)선도문화와 용서-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614
260 (24권)소강절의 심성론과 수양론 연구-정환희 file 관리자 2019.04.22 603
259 (24권)최한기 측인법의 관상학적 접근-조규문 file 관리자 2019.04.22 656
258 (24권)말갈과 여러 민족 간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연구-민성욱 file 관리자 2019.04.22 243
257 (24권)영가무도의 의미 고찰- 한자표기와 수행을 중심으로 -정유창 file 관리자 2019.04.22 377
256 (24권)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확대와 백두산의 ‘仙道 祭天’ 전통-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260
255 (24권)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의 화랑도 연구- 일본 학자들의 화랑연구 비판을 통한 -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243
254 (24권)홍익인간, 화랑도, 그리고 지구시민정신- 한반도 및 세계평화에 주는 함의 -김광린 file 관리자 2019.04.22 175
253 (23권)요양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관한 두 편의 논문-박지영,임찬경 file 관리자 2019.04.22 650
252 (23권)감정노동종사자의 명리선천적 직업체질이 직업안녕감에 미치는 영향-함혜수,김기승 file 관리자 2019.04.22 205
251 (23권)官僚腐敗의 莊子 內丹法 治癒事例 分析-이종수 file 관리자 2019.04.22 189
250 (23권)『周易』 雷火豊卦 「大象傳」의 原義 분석-권호용 file 관리자 2019.04.22 237
249 (23권)한·일 고대문화의 ‘소시모리(曾尸茂利)’와 ‘蘇塗’의 연관성-김철수 file 관리자 2019.04.22 239
248 (23권)고려 윤관이 개척한 동북9성의 위치 연구-이인철 file 관리자 2019.04.22 251
247 (23권)요하문명의 문화기호론적 탐색-최정숙 file 관리자 2019.04.22 223
246 (23권)홍익인간, 지구시민,그리고 지구경영- 김광린 file 관리자 2019.04.22 170
245 (23권)근대 독립운동과 역사연구 출발점으로서의 단군인식 검토-임찬경 file 관리자 2019.04.22 188
244 (23권)‘단(檀)’과 홍익인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어원을 중심으로-이찬구 file 관리자 2019.04.22 23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