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이 글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의 화랑연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들
은 일본 제국주의 학자들의 화랑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들
의 연구가 단순한 주장이 아니라 학문적 장에서 싸움이었던 것이다. 둘의
입장차이를 분명히 인식해야 독립운동가의 연구가 분명해지리라 생각한
다.
아유카이 푸사노신(鮎貝房之進)은 화랑도가 일본민족의 피를 받았다고
하고, 미시나 아키히데(三品彰英)는 원시적이고 미개한 부족에 공통된 것
이라고 한다. 이러한 역사와 사상 왜곡에 대해, 일제시대 독립운동가들은
이들을 철저하게 비판하였다. 신채호, 정인보, 박노철, 이병기, 이청원이
그들이다.
독립운동가들은 화랑도가 단군이래로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을 강조하
였다. 이는 역사의 단절설이 아니라 연속성을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화
랑도의 정신을 일본학자들이 불교와 샤머니즘과의 습합으로 설명하거나,
중국으로부터의 신선사상으로 윤색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에 대해
서 선도에 입각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들은 화랑도가 단군제단앞에
서 경기를 하며 검술 사격 기마 씨름 등 각종 기예를 하며 원근산수를 탐
험하며 시가와 음악을 익히며 공동으로 한곳에 숙식하며 평시에는 환란
구제 성곽도로 수축 등을 자임하고 난시에는 전장에 나아가야 죽음을 영
광으로 알고 공익을 위하여 일신을 희생하는 단체라고 하거나, 자유 민주
사상을 드러내는 모임이라고 한다. 원시적인 것이 아니라 현대적이고, 일
본민족이 아니라 한민족의 사상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5 (2집)天符經의 ‘一’에 관한 우주론적 고찰. 이근철 file 관리자 2016.10.20 336
234 (2집)天符經 硏究史 小考. 이형래 file 관리자 2016.10.20 366
233 (2집)『符都誌』에 나타난 韓國仙道의 ‘一·三論’.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327
232 (25권_특별)용서하는 인간-뇌교육적 인간학을 위한 시론(試論)-이승호 file 관리자 2019.04.22 775
231 (25권_특별)어떻게 용서할까? 효과적인 용서의 이해와 전략 - 김광수 file 관리자 2022.05.18 1657
230 (25권_특별)어떻게 사과해야 할까? -효과적인 사과의 구성요소 분석- 오영희 file 관리자 2022.05.18 1812
229 (25권_특별)선도문화와 용서-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738
228 (25권)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복기대 file 관리자 2019.04.22 1396
227 (25권)신라초 북부여계 파소·박혁거세의 단군조선 계승과 태백산의 마고제천-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1595
226 (25권)신라 신왕의 장생불사론 - 신기(神器), 수(壽), 그리고 왕위계승법칙 - -박병섭 file 관리자 2019.04.22 1411
225 (25권)광복 이후 초·중등 국사교과서의 ‘檀君朝鮮史’ 분야 개정 과정 연구-장지화 file 관리자 2019.04.22 1368
224 (25권)「符都誌」의 콘텐츠에 관한 小考 - “한”과의 중첩 - -박진규 file 관리자 2019.04.22 1425
223 (24권)홍익인간, 화랑도, 그리고 지구시민정신- 한반도 및 세계평화에 주는 함의 -김광린 file 관리자 2019.04.22 286
222 (24권)최한기 측인법의 관상학적 접근-조규문 file 관리자 2019.04.22 750
221 (24권)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확대와 백두산의 ‘仙道 祭天’ 전통-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397
» (24권)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의 화랑도 연구- 일본 학자들의 화랑연구 비판을 통한 -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388
219 (24권)영가무도의 의미 고찰- 한자표기와 수행을 중심으로 -정유창 file 관리자 2019.04.22 536
218 (24권)소강절의 심성론과 수양론 연구-정환희 file 관리자 2019.04.22 705
217 (24권)말갈과 여러 민족 간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연구-민성욱 file 관리자 2019.04.22 343
216 (23권)홍익인간, 지구시민,그리고 지구경영- 김광린 file 관리자 2019.04.22 300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