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3 |
논평) 중국철학에 대비되는 천부경의 특수성과 연구방법론에 대해-천부경에 나타난 도가 도교 사상을 읽고 (선도문화 13권-임채우)
|
관리자 | 2017.04.14 | 229 |
332 |
(제29권)한국민족종교사상(韓國民族宗敎思想)의 글로컬리티(Glocality)에 관한 연구/민영현
|
관리자 | 2020.10.11 | 82 |
331 |
(제29권)일제 강점기 어천절 기념식과 독립운동/조남호
|
관리자 | 2020.10.11 | 77 |
330 |
(제29권)동아시아 적석단총에 나타난 삼원오행론과 선도제천문화의 확산/정경희
|
관리자 | 2020.10.11 | 118 |
329 |
(제29권)동녕부 자비령(慈悲嶺)과 고려 서북 경계/김영섭
|
관리자 | 2020.10.11 | 97 |
328 |
(제29권)곰의 변환과 결합에 관한 상징적 의미에 관하여/송현종
|
관리자 | 2020.10.11 | 90 |
327 |
(제29권)고려시기 단군 역사기억의 변화와 도선국사 양계론 영향/이경룡
|
관리자 | 2020.10.11 | 75 |
326 |
(제28권-특별논문)이승휴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 이해/이경룡
|
관리자 | 2020.03.19 | 92 |
325 |
(제28권-특별논문)고려 중, 후기 역사 서술문체의 다변화와 이승휴의 선택/심경호
|
관리자 | 2020.03.19 | 81 |
324 |
(제28권-특별논문)1930년대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이승휴와 제왕운기에 대한 연구/조남호
|
관리자 | 2020.03.19 | 111 |
323 |
(제28권)현대문명의 위기와 후천개벽 사상의 포스트모던적 함의/김철수
|
관리자 | 2020.03.19 | 77 |
322 |
(제28권)일본신도 신악가(神樂歌)의 신격(神格)연구-아지메(阿知女)를 중심으로/이강민
|
관리자 | 2020.03.19 | 129 |
321 |
(제28권)살풀이의 기원적 의미 재고-화랑과 화랭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정혜원
|
관리자 | 2020.03.19 | 95 |
320 |
(제28권)배달국 초 백두산 천평문화의 개시와 한민족(예맥족·새밝족·맥족)의 형성/정경희
|
관리자 | 2020.03.19 | 142 |
319 |
(제28권)국권회복(1945년) 이후 ‘3.1혁명’에 대한 평가·인식 및 그 의미/신운용
|
관리자 | 2020.03.19 | 65 |
318 |
(제28권)고전(古典)에 담겨있는 꿈과 해몽에 대한 고찰/조규문
|
관리자 | 2020.03.19 | 116 |
317 |
(9권)李穀과 鄭--의 詞에 투영된 “蔚州八景” 형상 考 (이태형)
|
관리자 | 2016.10.21 | 99 |
316 |
(9권)환단고기위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대석)
|
관리자 | 2016.10.21 | 125 |
315 |
(9권)환단고기와 삼일신고 (조남호)
|
관리자 | 2016.10.21 | 128 |
314 |
(9권)환단고기에 나타난 곰과 범의 철학적 의미 (임채우)
|
관리자 | 2016.10.21 | 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