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人事萬事라는 말이 있다. 사람의 일이 곧 모든 일이라는 뜻으로, 알맞
은 인재를 알맞은 자리에 써야 모든 일이 잘 풀린다는 뜻이다. 알맞은
인재를 선택하기 위해서 제일 좋은 방법은 그 사람을 충분히 경험한 뒤
에 기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을 선택해야 하는 순간에는 충분한 경
험을 못하고, 사람의 외모와 말을 통해 파악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사
람의 외모를 보고 말을 들어 판단하는 것을 관상 또는 인상이라 한다.
조선후기 최한기는 인사의 중요성에 절실함을 알고, 조정에서 사람을
등용할 때 그 사람을 헤아릴 수 있는 측인법에 대해, 그의 저서 『人政』
「測人門」에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測人門」에 나오는 측인법은 相書에
나오는 상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測人門」에 대한 연구를 관
상학의 관점에서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3 (15권)단태권도 기공수련이 중년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윤태기 file 관리자 2016.10.20 226
262 (15권)부여 건국과정과 도읍지 위치에 관한 문헌연구-지양미 file 관리자 2016.10.20 256
261 (15권)선조의 주역과 참동계 연구, 그리고 동의보감-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232
260 (15권)신라 ‘나얼(奈乙, 蘿井)’*21) 祭天 유적에 나타난 ‘얼(井)’ 사상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351
259 (15권)전통 중국의 天道自然觀과 ‘經世’-魏晋 玄學을 중심으로- -전인갑 file 관리자 2016.10.20 199
258 (15권)한국 선도문화의 대체의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檀君史話를 중심으로--정유창 file 관리자 2016.10.20 225
257 (15권)한국선도의 정기신론 소고-정(精)에 관하여-박진규 file 관리자 2016.10.20 247
256 (15권)한국종교사 속에서의 단군민족주의-대종교를 중심으로- -김동환 file 관리자 2016.10.20 262
255 (15권)호흡명상 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뇌파특성 비교 연구-좌성민 file 관리자 2016.10.20 232
254 (16권)5세기 후반 신라 사상계와 나얼(奈乙, 蘿井) 神宮건립-밝왕’炤知王의 仙佛 정책을 중심으로-鄭景姬 file 관리자 2016.10.20 234
253 (16권)正易에서 본 ‘윷놀이’의 易學的 의미-임병학 file 관리자 2016.10.20 278
252 (16권)고조선의 도읍지, 건국(建國) 년도,국호 등에 관한 고찰-김진경 file 관리자 2016.10.20 429
251 (16권)뇌교육의 ‘신성(神性)’ 개념과 신경과학적 접근을 통한 ‘신성 인식’에 관한 시론(試論)적 이해-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205
250 (16권)대종교 경전으로 본 환단고기(桓檀古記)진위 문제-이근철 file 관리자 2016.10.20 269
249 (16권)상상과 유추를 통한 문학치료의 성취-배정순 file 관리자 2016.10.20 252
248 (16권)안중근의 종교사상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신운용 file 관리자 2016.10.20 326
247 (16권)영가무도에 대한 문헌고찰 및 대체의학에서의 연구방향-정유창,김영희 file 관리자 2016.10.20 220
246 (16권)한중 역사갈등에 대응하는 한국전략 비판-고조선강역 담론을 중심으로-정형욱 file 관리자 2016.10.20 240
245 (17권)[東醫寶鑑]의 精에 관한 小考-김종두 file 관리자 2016.10.20 244
244 (17권)[黃帝內經]의 瀉血이 疾病治癒에 미치는 影響에 對한 考察-김경배 file 관리자 2016.10.20 3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