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훈의 천부경 이해
Ⅰ. 머리말
Ⅱ. 천부경 주석의 기본입장
Ⅲ. 천부경의 겸성론적(兼聖論的) 주석
Ⅳ. 겸성론적(兼聖論的) 도통의식(道統意識)
Ⅴ. 맺는 말
김 낙 필 (원광대학교 교수)
전병훈의 천부경 이해
Ⅰ. 머리말
Ⅱ. 천부경 주석의 기본입장
Ⅲ. 천부경의 겸성론적(兼聖論的) 주석
Ⅳ. 겸성론적(兼聖論的) 도통의식(道統意識)
Ⅴ. 맺는 말
김 낙 필 (원광대학교 교수)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 | [34권]한국선도의 신인합일 전통에서 바라본 최수운의 시천주사상: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김윤숙 | 관리자 | 2023.03.19 | 1517 |
2 | [34권]후기구석기의 후반기, 유럽지역 호모사피엔스의 ‘생명-공생문화’ |정경희 | 관리자 | 2023.03.19 | 1576 |
1 | 논평) 중국철학에 대비되는 천부경의 특수성과 연구방법론에 대해-천부경에 나타난 도가 도교 사상을 읽고 (선도문화 13권-임채우) | 관리자 | 2017.04.13 | 3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