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본 논문은 정역을 중심으로 주역  「계사상」 제10장의 역철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계사상」 제10장은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 번째 부분은 성인지도의 네 가지인 사ㆍ변ㆍ상ㆍ점(辭變象占)이 주역의 역도(易道) 표상체계를 밝힌 것을 알 수 있다. 말을 하는 사람은 성인(聖人)이 밝혀 놓은 64괘사ㆍ384효사ㆍ십익(十翼)을 숭상 하는 것이고, 행동을 하는 사람은 효의 변화이치를 밝힌 괘효ㆍ육효중괘를 숭상하는 것이고, 제정된 기(器)를 쓰는 사람은 팔괘와 팔괘도(八卦圖)에 담긴 진리를 연구하고 진리에 맞게 사용함을  숭상하는 것이고, 복서(卜筮)를 쓰는 사람은 하도ㆍ낙서의 이치를 통해서 하늘의  뜻을 아는 행위인 점(占)을  숭상하는 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성인지도(聖人之道)를 학문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군자의 언행(言行) 과 감통(感通)을 고찰하였다. 군자는 자신의 본성을 바탕으로 성인지도(聖人之道)를 자각하여  말과 행동을 하는 존재이다. 지정(至精)한 자세로 성인의  말씀인 사(辭)를 공부하고 점(占)을 헤아려 오는 것을 알 수 있어야 한다. 또 역도(易道)의 감응과 통함은 사특한 생각과 작위가 없고, 자기 관념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경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세 번째 부분은 지정(至精)ㆍ지변(至變)ㆍ지신(至神)으로 역(易)의 진리를 밝힌 성인 의 천명을 고찰하였다. 복희씨ㆍ우임금ㆍ문왕ㆍ주공ㆍ공자로 이어지는 작역(作易) 성 인(聖人)은 지극히  깊은  진리를 자각하여 세상에  드러낸 것이다. 성인(聖人)은 장차 군자로 하여금 자신의 본성인 성명지리(性命之理)에 순응하게 하기 위해 진리를 밝힌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5 (33권)이근철--「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총론 개정방안 연구」에 대한 비판: 교육이념 ‘홍익인간’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621
314 (제29권)고려시기 단군 역사기억의 변화와 도선국사 양계론 영향/이경룡 file 관리자 2020.10.11 1619
313 (35권)일제 강점기 중국에서의 개천절 기념식 연구 |조남호 file 관리자 2024.01.27 1619
312 (25권)신라초 북부여계 파소·박혁거세의 단군조선 계승과 태백산의 마고제천-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1618
311 (35권)과소결정과 증명의 이데올로기 |이승종 file 관리자 2024.01.27 1618
310 <27권>사제로서의 단군과 무당의 역할연구-김영숙 file 관리자 2019.11.01 1617
309 (35권)뇌기능 조절의 관점에서 바라본 선도 수행 : 지감⋅조식⋅금촉을 중심으로 |신혜숙 file 관리자 2024.01.27 1616
308 [34권]태백산 제천문화권, 대관령 ‘국사성황사’의 구조 및 신격 연구 |박지영 file 관리자 2023.03.19 1614
307 (32권)김광린--지구화, 지구시민, 그리고 홍익인간사상 : 상생과 조화의 지구촌을 향하여 file 관리자 2022.03.19 1612
306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유적의 역사적 가치와 한국사회의 인식--장우순 file 관리자 2021.05.28 1611
305 (35권)양주동 소장본 규원사화의 발견과 그 의미 : 판본의 진위와 연대 문제를 중심으로 |임채우 file 관리자 2024.01.27 1610
304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의 풍수지리 입지특성과 역사문화 형성에 관한 연구--김기찬 file 관리자 2021.05.28 1605
303 (31권)근대 이후 한국선도 전통의 회복 과정과 ‘선교’ 등장/석상순 file 관리자 2021.09.26 1605
302 <27권>국권회복(1945)이전 '3.1혁명'에 대한 평가-인식과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19.11.01 1600
301 [34권]서구적 건강 패러다임과 홍익인간사상의 통합적 사유: 건강한 지구촌을 위한 보완적 협력 |김광린 file 관리자 2023.03.19 1600
300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 호반관광지 개발의 환경영향 등 연구--정연돈 file 관리자 2021.05.28 1597
299 <27권>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II)-정경희 file 관리자 2019.11.01 1591
» (35권)「계사상」 제10장의 역철학적(易哲學的) 고찰 : 정역(正易)을 중심으로 |이종숙⋅임병학 file 관리자 2024.01.27 1591
297 (35권)양자(量子)시대 세계관의 변경에 대한 동양 형이상학에서의 이해 : 부(附). 상수학적(象數學的) 기(氣)의 존재와 운동을 중심으로 |민영현 file 관리자 2024.01.27 1585
296 [34권]한국선도와 ESG 경영의 공생 정신 |허성관 file 관리자 2023.03.19 157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