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1990년대 중국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 정립 과정에서 백두산 서
편 고제단군중 가장 전형적인 홍산문화계 고제단으로 지목, 전면 발굴이
이루어졌던 만발발자 유적은 B.C.4000년~A.D.600년 무렵, 곧 배달국
~고구려시기 한민족의 주족인 맥족계의 선도제천문화가 성립·변천되어
가는 과정을 집약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더없이 귀한 유적이다. 유적은 제
천·주거·무덤시설로 이루어졌는데 제천시설이 중심이며 나머지 시설은
부속시설에 해당한다. 제천시설은 다시 1차 시설 ‘3층원단(모자합장묘)·
방대’, 2차 시설 ‘선돌 2주·적석 방단·제천사’로 나뉜다.
만발발자의 1차 및 2차 제천시설은 크게 보아 B.C.4000년~A.D.600
년 무렵(정식 발굴을 거쳤을 뿐아니라 가장 넓은 시기값을 지닌 만발발자
유적의 시기를 기준으로 함) 요동·요서·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나무솟대·제천사·선돌·고인돌류)’ 계통
으로 중원지역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형태였다.
중국측의 만발발자 유적 발굴은 애초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증
명하기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동북아 상고문화의 기원
과 계승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다. 첫째, 1980년대 이래 요
서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북아 상고사 연구를 요동 중심으로 돌려 놓았다.
둘째, 중원문화의 기원이 배달국 요동~요서 문화였음을 보여주었다. 셋
째, 중원문화가 배달국문화의 본령인 선도제천문화의 전형을 제대로 전
수하지 못하고 지역문화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결과를 수용할 수 없었
던 중국측은 만발발자 유적중 제천시설 부분을 은폐하며, 더하여 1990년
대 발굴조사되었던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 전체를 은폐하게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3 <27권>국권회복(1945)이전 '3.1혁명'에 대한 평가-인식과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19.11.01 1514
302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의 풍수지리 입지특성과 역사문화 형성에 관한 연구--김기찬 file 관리자 2021.05.28 1510
301 [34권]태백산 제천문화권, 대관령 ‘국사성황사’의 구조 및 신격 연구 |박지영 file 관리자 2023.03.19 1503
300 [34권]1920년대 한⋅일의 종교지형과 제휴활동: 오모토와 보천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철수 file 관리자 2023.03.19 1501
299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 호반관광지 개발의 환경영향 등 연구--정연돈 file 관리자 2021.05.28 1496
298 [34권]한국 고대의 진휼과 ‘공생정치’ |소대봉 file 관리자 2023.03.19 1496
297 [34권]울진 후포리유적과 한반도 남부의 신석기 선도제천문화 |최수민 file 관리자 2023.03.19 1492
296 [34권]서구적 건강 패러다임과 홍익인간사상의 통합적 사유: 건강한 지구촌을 위한 보완적 협력 |김광린 file 관리자 2023.03.19 1491
295 <27권>사제로서의 단군과 무당의 역할연구-김영숙 file 관리자 2019.11.01 1482
294 (35권)과소결정과 증명의 이데올로기 |이승종 file 관리자 2024.01.27 1471
293 [34권]한국선도와 ESG 경영의 공생 정신 |허성관 file 관리자 2023.03.19 1470
292 (35권)한국 ‘선도무예’의 현대적 계승과 ‘단무도’ |석혜인 file 관리자 2024.01.27 1467
291 (35권)양주동 소장본 규원사화의 발견과 그 의미 : 판본의 진위와 연대 문제를 중심으로 |임채우 file 관리자 2024.01.27 1466
290 (35권)일제 강점기 중국에서의 개천절 기념식 연구 |조남호 file 관리자 2024.01.27 1459
289 (35권)해양오염, 기후위기, 그리고 홍익인간의 비전 : 지구시민의식의 형성을 중심으로 |나종팔 file 관리자 2024.01.27 1458
288 (35권)뇌기능 조절의 관점에서 바라본 선도 수행 : 지감⋅조식⋅금촉을 중심으로 |신혜숙 file 관리자 2024.01.27 1452
287 (35권)「계사상」 제10장의 역철학적(易哲學的) 고찰 : 정역(正易)을 중심으로 |이종숙⋅임병학 file 관리자 2024.01.27 1450
» <27권>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II)-정경희 file 관리자 2019.11.01 1448
285 (35권)양자(量子)시대 세계관의 변경에 대한 동양 형이상학에서의 이해 : 부(附). 상수학적(象數學的) 기(氣)의 존재와 운동을 중심으로 |민영현 file 관리자 2024.01.27 1448
284 (25권)신라초 북부여계 파소·박혁거세의 단군조선 계승과 태백산의 마고제천-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144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