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중기구석기 아프리카∼서남아시아지역의 초기 호모사피엔스에서 시작된 생명상징 문⋅생명상징물 전통은 후기구석기 호모사피엔스의 유럽 진출을 계기로 유럽사회로 이식되었다. IUP 보후니시안 이하 여러 과도기문화에서 석제 첨두기 전통이 중심이 되었다가 EUP 오리나시안기∼MUP 그라베티안기에는  새로운 생명상징물로 기왕의 삼각형⋅마름모형 생명상징을 인격화한  모신상징이  등장하였다. 이로써 중기구석기 첨두기 위주의 생명상징 전통이 후기구석기에 이르러 모신상 위주로 달라졌다. 
오리나시안기 생명상징은 ‘삼각형ㆍ원형 모신자궁’ 상징 중심이었고 그라베티안기 에는 ‘마름모-삼각형 모신상’ 상징 중심으로 변화, 생명상징의 인격화가 진전되었다. ‘마름모-삼각형  모신상’은 구체적으로 많은 자녀를  낳고 양육한 어머니나  할머니의 이미지 로 제작, 생명신으로서의 면모가 강조되었다. 또한 모신상의 ‘머리ㆍ머릿골ㆍ정수리’가 강조, 생명의 실체로서 머리를 신성시하는 생명인식이 진전되었다. 의기류 방면에서는 오리나시안기의 전통을 계승하되 특히 ‘벽’ 기종이 중시되어 동유럽-시베리아-후대 동북아 선도제천문화와의 친연성을 보여주었다.
전기 LUP 솔루트레안-에피그라베티안기에는 최후빙하극성기로 호모사피엔스의 유 럽 진출 이래 최대의 위기였다. 골제 산업의 위축으로 기왕의 ‘마름모-삼각형 모신상’ 전통이 사라지고 대신 ‘석제 마름모형ㆍ잎형 첨두기 모신상’이 등장하였다. 멀리로는 중기구석기 이래의 생명상징 전통, 가까이로는 IUP 석제 첨두기 전통으로의 복고로, 위기시에 나타나는 문화원형으로의 복고 현상이다.
후기 LUP 막달레니안-에피그라베티안기에는 기후의 온난화와 인구 증가에 힘입어 생명상징 전통이 되살아났다. 인격화된 모신상 전통이 부활, ‘삼각형 모신상’이 등장하 였는데 다만 여성의 성적인 이미지가 강조, 모신문화의 세속화 또는  약화 경향이 나타났 다. 골제 의기류의 양대 기종인 골권장ㆍ벽의 경우에도 우선 기종면에서 벽의 위상이 약화되고  골권장의 위상이 과도하게 높아져 그라베티안기의 동유럽-시베리아-후대 동북아 선도제천문화로 연계되었던 전통에서 멀어졌다. 형태ㆍ문양 면에서도 모신문화 계통 외에 신수토템 계통의 비중이 높아져 모신문화가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3 (제28권-특별논문)1930년대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이승휴와 제왕운기에 대한 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20.03.19 1595
342 (33권)신혜숙--명상 체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통합적 사고 체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593
341 (제28권)현대문명의 위기와 후천개벽 사상의 포스트모던적 함의/김철수 file 관리자 2020.03.19 1592
340 (32권)박덕규--임나 7국의 위치에 대한 재론 file 관리자 2022.03.19 1589
339 (32권)윤병모--고조선의 패수와 왕검성 file 관리자 2022.03.19 1584
338 (제28권)살풀이의 기원적 의미 재고-화랑과 화랭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정혜원 file 관리자 2020.03.19 1582
337 <27권>단군 48대 왕조사 자료발굴과 그 의의-임채우 file 관리자 2019.11.01 1581
336 (제28권-특별논문)이승휴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 이해/이경룡 file 관리자 2020.03.19 1579
» [34권]후기구석기의 후반기, 유럽지역 호모사피엔스의 ‘생명-공생문화’ |정경희 file 관리자 2023.03.19 1576
334 <27권>한민족 삼원론적 사유구조연구-박태봉 file 관리자 2019.11.01 1572
333 (33권)임비호--팔만대장경 보전의 홍익생태학적 함의 file 관리자 2022.10.12 1571
332 <27권_특별강연>한국선도 신인합일 전통의 현대적 계승-만월도전 file 관리자 2019.11.01 1570
331 (32권)송옥진--훈민정음 해례(解例)와 천부경(天符經)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file 관리자 2022.03.19 1568
330 (제28권-특별논문)고려 중, 후기 역사 서술문체의 다변화와 이승휴의 선택/심경호 file 관리자 2020.03.19 1566
329 (30권)해방공간(1945년-1947년)의 개천절 봉축 행사와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21.05.28 1563
328 (30권)서학이 근대 민중종교운동에 미친 영향 - 민간 예언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21.05.28 1562
327 (30권)일제시대 민족종교의 조직구성과 근대성 - 보천교를 중심으로--김철수 file 관리자 2021.05.28 1560
326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유적 보존을 위한 시민운동 과정과 방향 연구--김영숙 file 관리자 2021.05.28 1558
325 (31권)한국 민족사학의 원형, ‘선도사학’/소대봉 file 관리자 2021.09.26 1557
324 (31권)한국선도의 성통⋅공완 전통으로 바라본 ‘선교’의 실천운동/최명희 file 관리자 2021.09.26 155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