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 |
(15권)한국종교사 속에서의 단군민족주의-대종교를 중심으로- -김동환
|
관리자 | 2016.10.20 | 259 |
202 |
(18권)國學氣功프로그램이 어르신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김일식,김흥걸,신혜숙,서호찬
|
관리자 | 2016.10.20 | 259 |
201 |
(24권)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확대와 백두산의 ‘仙道 祭天’ 전통-정경희
|
관리자 | 2019.04.22 | 260 |
200 |
(2집)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단군조선 인식. 강병수
|
관리자 | 2016.10.20 | 261 |
199 |
(13권)시론 '長白山'과 '鴨綠水'의 위치 검토-고려이전을 중심으로- (고광진, 최원호, 복기대)
|
관리자 | 2016.10.20 | 261 |
198 |
(19권)주시경과 제자들의 단군에 대한 이해-조남호
|
관리자 | 2016.10.20 | 262 |
197 |
(20권)근대 유교지식인의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김동환
|
관리자 | 2016.10.20 | 262 |
196 |
(3집)천부경의 '三'에 관한 선도적 고찰 (이근철)
|
관리자 | 2016.10.20 | 264 |
195 |
(12권)한국 신종교의 선도사상 연구 (나권수)
|
관리자 | 2016.10.20 | 265 |
194 |
(16권)대종교 경전으로 본 환단고기(桓檀古記)진위 문제-이근철
|
관리자 | 2016.10.20 | 266 |
193 |
(17권)[특집]<고등학교 한국사>에 나타난 삼국∼고려시대의 국학사상 -양은용
|
관리자 | 2016.10.20 | 268 |
192 |
(19권)해방 이후 조선어학회의 정치 지형-박용규
|
관리자 | 2016.10.20 | 271 |
191 |
(19권)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2)-최근 논쟁에서의 몇가지 문제를 중심으로-임채우
|
관리자 | 2016.10.20 | 271 |
190 |
(1집)中國道家와 道敎 그리고 韓國 仙의 사상에 관한 비교연구-민영현
|
관리자 | 2016.10.20 | 272 |
189 |
(5집)天符經의 易學的 意義 -皇極內篇과 周易의 서법(筮法)을 중심으로-(최정준)
|
관리자 | 2016.10.20 | 272 |
188 |
(6집)한국 상고사 연구에 있어서 고고학 응용에 관하여-요서 지역 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복기대)
|
관리자 | 2016.10.20 | 273 |
187 |
(13권)한국선도 수행으로 바라본 중국도교의 內丹 수행 (정경희)
|
관리자 | 2016.10.20 | 274 |
186 |
(2집)天符經의 數理哲學과 그 形而上學. 민영현
|
관리자 | 2016.10.20 | 276 |
185 |
(16권)正易에서 본 ‘윷놀이’의 易學的 의미-임병학
|
관리자 | 2016.10.20 | 277 |
184 |
(1집)백봉신사(白峯神師)의 도통전수(道統傳授)에 관한 연구-조준희
|
관리자 | 2016.10.20 | 2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