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요하문명론의 요체인 ‘홍산문화(예제문화·선상문화)론’은 애초 중원이
나 요서 지역에 대한 이론으로 출발하였으나 점차 요하문명의 동쪽, 곧
요동·한반도 지역으로도 확대되었고 이 과정에서 요하문명의 동진 이론
으로서 ‘장백산문화론’이 등장하였다. 장백산문화론의 기본 구도는 한민
족(예맥족)계의 종족적, 문화적 의미를 철저히 배제한 위에 종족적 주체
로 숙신계(후금·청대 이후 화하족(한족)화하였기에 화하계로 인식), 문
화적 주체로 화하계를 드는 방식이다.
요하문명론의 ‘홍산문화→하가점하층문화→은상문화’ 계통론은 장백산
문화론에 이르러 ‘〔홍산문화(예제문화·선상문화)→하가점하층문화→은
상〕→(연·)기자조선→위만조선→한사군→고구려·부여→발해’ 계통론
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계통 인식은 요하문명론의 은상족 중심의 역사
인식을 확장한 것으로 연과 기자조선은 물론 고구려·부여까지도 은상계
국가임이 강조되었고, 이로써 한국사가 뿌리에서부터 말살되었다. 요하
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 따른 모든 부면의 주제들이 실상 ‘홍산문화(예제
문화·선상문화)론’의 확대·부연이기에 그 오류 교정에 있어 ‘홍산문화(
선도문화·배달국문화)’의 기준점은 한결같이 중요해진다.
1990년대 후반 중국측은 장백산문화론을 입증하기 위해 백두산 일대에
서 발견된 고제단들에 ‘홍산문화(예제문화, 선상문화) 계통론’을 투영하
였다. 결국 홍산문화기 요서 홍산문화 일대와 요동 백두산 일대를 관통하
였던 제천 문화의 양대 중심이 확인,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의 오류가
드러났다. 홍산문화기 요서 홍산문화 일대와 요동 백두산 일대를 관통하
였던 제천 문화의 양대 중심에 대한 문헌 기록으로는 배달국의 양대 중심
지로 신시(백두산 지역)와 청구(홍산문화 지역)를 제시한 한국측 선도사
서가 있다.
중국측은 장백산신앙을 화하계 문화로 몰아가는 것이 불가능해지자 장

백산신앙의 중심을 숙신계 샤머니즘으로 변경한 후, 숙신족이 중원왕조
화한 금·청대 이후 장백산신앙이 샤머니즘의 차원에서 중원왕조의 산악
숭배 차원으로 변모되어갔음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장백산신앙의 중국적
귀속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숙신계 샤머니즘은 단순한 숙신계 고유의 샤
머니즘이 아니라 배달국·단군조선 이래 선도문화권이었던 동북아 일대
의 보편적 선도 제천 문화가 숙신화한 형태였다. 중국측의 요하문명론-
장백산문화론에도 불구하고 결국 예맥족계의 선도 제천 문화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3 (23권)고려 윤관이 개척한 동북9성의 위치 연구-이인철 file 관리자 2019.04.22 254
202 (23권)감정노동종사자의 명리선천적 직업체질이 직업안녕감에 미치는 영향-함혜수,김기승 file 관리자 2019.04.22 209
201 (23권)官僚腐敗의 莊子 內丹法 治癒事例 分析-이종수 file 관리자 2019.04.22 192
200 (23권)『周易』 雷火豊卦 「大象傳」의 原義 분석-권호용 file 관리자 2019.04.22 240
199 (23권)‘단(檀)’과 홍익인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어원을 중심으로-이찬구 file 관리자 2019.04.22 243
198 (22권)홍연진결에 내재된 한국 민간역학의 주제-최정준 file 관리자 2017.03.29 396
197 (22권)한자도 우리 글자인가?-논의의 맥락과 그 의의-김영환 file 관리자 2017.03.29 372
196 (22권)한민족의 문화유전자로 이어진 고조선문화-지양미 file 관리자 2017.03.29 369
195 (22권)조선말 김항 정역사상의 역학사적 의의-양재학 file 관리자 2017.03.29 485
194 (22권)정감록에 나타난 역학적사유에 관한 고찰-이찬구 file 관리자 2017.03.29 405
193 (22권)요서지역 흥륭와문화기 마고여신상의 등장과 ‘마고제천’-정경희 file 관리자 2017.03.29 462
192 (22권)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영토 인식-조남호 file 관리자 2017.03.29 366
191 (22권)뇌교육 명상이 중학생의 마음챙김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이승호 file 관리자 2017.03.29 334
190 (22권)韓國 近代 新宗敎에 나타난 後天開闢思想 硏究-近代 民間 易學의 性格을 中心으로-송재국 file 관리자 2017.03.29 346
189 (22권)也山 李達 역학의 한국사상적 성격-임채우 file 관리자 2017.03.29 294
188 (21권)환단고기의 삼신 하느님에 관한 고찰-이찬구 file 관리자 2016.10.20 472
187 (21권)선교(仙敎)의 창교 배경과 신관 연구-불광선인(佛光仙人)을 중심으로- 윤한주 file 관리자 2016.10.20 444
186 (21권)삼국사기 말갈(靺鞨)에 대한 기록 검토-송옥진 file 관리자 2016.10.20 571
185 (21권)대종교의 삼신일체론-삼국유사와 비교- -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410
184 (21권)노주 김영의의 생애와 사상적 좌표(2)-삼일신고 주해를 중심으로- -박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460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