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 |
天符經의 易學的 意義 -皇極內篇과 周易의 서법(筮法)을 중심으로-(최정준)
|
관리자 | 2016.10.21 | 102 |
182 |
환단고기에 나타난 곰과 범의 철학적 의미 (임채우)
|
관리자 | 2016.10.21 | 102 |
181 |
한국유학의 특성과 주체적 발전양상에 관한 고찰-김성실
|
관리자 | 2016.10.21 | 102 |
180 |
중국의『天符經』연구에 대한 소론(小論)-국희(鞠曦) 교수의 天符經論을 중심으로- (임태현)
|
관리자 | 2016.10.21 | 101 |
179 |
환단고기위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대석)
|
관리자 | 2016.10.21 | 101 |
178 |
홍익인간의 현대적 재해석(김선미)
|
관리자 | 2016.10.21 | 101 |
177 |
한민족의 신명과 대체의학-정유창
|
관리자 | 2016.10.21 | 101 |
176 |
中國道家와 道敎 그리고 韓國 仙의 사상에 관한 비교연구-민영현
|
관리자 | 2016.10.21 | 100 |
175 |
참전경(參佺經) 해제(解題)와 그 문화사상적 의의 (민영현)
|
관리자 | 2016.10.21 | 100 |
174 |
구비설화를 통해 본 ‘마고’의 원형-석상순
|
관리자 | 2016.10.21 | 100 |
173 |
갈석산(碣石山)의 위치 비정(比定)에 관한 연구-김진경
|
관리자 | 2016.10.21 | 100 |
172 |
북한의 천부경 연구 (조남호)
|
관리자 | 2016.10.21 | 99 |
171 |
한국의 태권도와 선도 (박성수)
|
관리자 | 2016.10.21 | 99 |
» |
한국선도 현대단학의 명상법 (안진경)
|
관리자 | 2016.10.21 | 99 |
169 |
중국학계의 거란 東쪽 국경에 인식에 對하여 (복기대)
|
관리자 | 2016.10.21 | 99 |
168 |
長壽마을의 自然的 立地에 대한 風水的 考察-고제희
|
관리자 | 2016.10.21 | 99 |
167 |
일제하 항일운동 배경으로서의 단군의 위상(김동환)
|
관리자 | 2016.10.21 | 98 |
166 |
國學氣功프로그램이 어르신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김일식,김흥걸,신혜숙,서호찬
|
관리자 | 2016.10.21 | 98 |
165 |
한국인의 天神思想속의 鳳凰形象 硏究-민병삼
|
관리자 | 2016.10.21 | 98 |
164 |
天符經 硏究史 小考-이형래
|
관리자 | 2016.10.21 |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