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
(5집)天符經의 易學的 意義 -皇極內篇과 周易의 서법(筮法)을 중심으로-(최정준)
|
관리자 | 2016.10.20 | 175 |
229 |
(12권)한국선도 수행의 실제 (정경희)
|
관리자 | 2016.10.20 | 175 |
228 |
(17권)한국유학의 특성과 주체적 발전양상에 관한 고찰-김성실
|
관리자 | 2016.10.20 | 175 |
227 |
(8권)삼국ㆍ고려시대의 제천의례와 문제(박미라)
|
관리자 | 2016.10.20 | 174 |
226 |
(16권)正易에서 본 ‘윷놀이’의 易學的 의미-임병학
|
관리자 | 2016.10.20 | 174 |
225 |
(제28권)고전(古典)에 담겨있는 꿈과 해몽에 대한 고찰/조규문
|
관리자 | 2020.03.19 | 174 |
224 |
(2집)天符經의 ‘一’에 관한 우주론적 고찰. 이근철
|
관리자 | 2016.10.20 | 173 |
223 |
(13권)正易에서의 윷판 해석론 (임채우)
|
관리자 | 2016.10.20 | 173 |
222 |
(14권)이충익 <초원담로>의 수양론 체계에 관한 연구-김형석
|
관리자 | 2016.10.20 | 173 |
221 |
(18권)國學氣功프로그램이 어르신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김일식,김흥걸,신혜숙,서호찬
|
관리자 | 2016.10.20 | 173 |
220 |
(24권)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확대와 백두산의 ‘仙道 祭天’ 전통-정경희
|
관리자 | 2019.04.22 | 173 |
219 |
<26권>곤륜산과 백두산에 관한 한국의 유선문학과 수근목간 형세론-이경룡
|
관리자 | 2019.01.15 | 173 |
218 |
<27권_특별강연>한국선도 신인합일 전통의 현대적 계승-만월도전
|
관리자 | 2019.11.01 | 173 |
217 |
(7집)삼일신고 독경 연구 (조준희)
|
관리자 | 2016.10.20 | 171 |
216 |
(13권)시론 '長白山'과 '鴨綠水'의 위치 검토-고려이전을 중심으로- (고광진, 최원호, 복기대)
|
관리자 | 2016.10.20 | 171 |
215 |
(3집)천부경의 '三'에 관한 선도적 고찰 (이근철)
|
관리자 | 2016.10.20 | 170 |
214 |
<27권>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II)-정경희
|
관리자 | 2019.11.01 | 170 |
213 |
(5집)천부경 ‘大三合六’의 우주론 (이찬구)
|
관리자 | 2016.10.20 | 169 |
212 |
(10권_특집)최치원과 도교의 관계문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임채우)
|
관리자 | 2016.10.20 | 169 |
211 |
(14권)韓國仙道와 <澄心錄>-정경희
|
관리자 | 2016.10.20 | 1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