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 |
뇌교육의 ‘신성(神性)’ 개념과 신경과학적 접근을 통한 ‘신성 인식’에 관한 시론(試論)적 이해-이승호
|
관리자 | 2016.10.21 | 88 |
202 |
자연과학에서 바라본 생명전자의 발견과 새로운 문명시대의 시작-한정균
|
관리자 | 2016.10.21 | 88 |
201 |
『符都誌』에 나타난 韓國仙道의 ‘一·三論’ (정경희)
|
관리자 | 2016.10.21 | 89 |
200 |
천부경의 '三'에 관한 선도적 고찰 (이근철)
|
관리자 | 2016.10.21 | 89 |
199 |
한국선도의 수행론을 통해 본 ‘아’음성수련법(김영숙)
|
관리자 | 2016.10.21 | 89 |
198 |
근현대 한국선도의 장생론 (안진경)
|
관리자 | 2016.10.21 | 89 |
197 |
기공체조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및 두뇌 영역별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임영자,심준영
|
관리자 | 2016.10.21 | 89 |
196 |
仙道史書에 나타나는 고구려 多勿主義에 대한 연구-김동환
|
관리자 | 2016.10.21 | 90 |
195 |
한국선도문헌의 연구사 소고 (이승호)
|
관리자 | 2016.10.21 | 90 |
194 |
배달국 말기 ‘天孫文化’의 재정립과 ‘치우천왕’(정경희)
|
관리자 | 2016.10.21 | 90 |
193 |
한일고대사의 올바른 인식의 중대성 (홍윤기)
|
관리자 | 2016.10.21 | 90 |
192 |
원불교 丹田住禪의 실제와 無時禪의 관계(김성장)
|
관리자 | 2016.10.21 | 90 |
191 |
紅山文化 玉器에 나타난 ‘朝天’사상(1). (정경희)
|
관리자 | 2016.10.21 | 90 |
190 |
고대의 동이인식-송옥진
|
관리자 | 2016.10.21 | 91 |
189 |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 과제와 홍익인간 사상의 의미 (오화영)
|
관리자 | 2016.10.21 | 92 |
188 |
고구려 신화의 성립과 소서노 배제의 정치사회학(권도경)
|
관리자 | 2016.10.21 | 92 |
187 |
한국선도 수행의 실제 (정경희)
|
관리자 | 2016.10.21 | 92 |
186 |
<주역>에 나타난 ‘도道’로 명명된 개념의 분류와 그 함의 (이선행)
|
관리자 | 2016.10.21 | 92 |
185 |
한국사 교과서 현대사 기술에 대한 분석-국학(국사)의 관점에서-신운용
|
관리자 | 2016.10.21 | 92 |
184 |
천부경의 無와 과정철학 (이찬구)
|
관리자 | 2016.10.21 | 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