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본 연구는 범어사 입지와 공간구성에 반영된 특징적인 모습을 풍
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형세적 관점에 중점을 두고자
하며, 선찰대본산이라는 특징 속에는 어떤 모습으로 승화,발전되고
있는지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의 범어사를 기준으로 여러
풍수문헌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해 살펴본다.
범어사는 백두대간의 가장 끝부분을 차지한 지기(地氣) 왕성한 입
지를 통해 풍수적 특징을 실천하였다. 특히, 지기가 가장 왕성하게
응결한 혈처에 금어선원을 배치함으로써, 한국 불교선종의 수사찰(首
寺刹)의 지위를 차지하는 모습이다. 범어사의 공간구성은 금정산의
산세에 따라 상단과 중단 그리고 하단으로 구성되었다. 상단은 불단
으로, 중단은 보살단 혹은 신중단으로, 하단은 신중단과 영단으로 구
분하지만, 불가의 삼보사상과 유가의 삼합사상 그리고 풍수의 삼세
심혈법과 절묘하게 어우러지는 모습이다. 따라서 범어사는 불교와
풍수적 특징이 절묘한 조화를 통해 가장 합리적인 입지선정과 공간
구성을 이룬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09_박정해.pdf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0 (21권)강증산 사상에 나타난 선도관(仙道觀) 연구-김귀만 file 관리자 2016.10.20 427
229 (21권)고구려 외교의 성격과 규모 대한 분석-외교가 무역과 전쟁에 끼친 영향- -이정훈 file 관리자 2016.10.20 357
228 (21권)삼국사기 말갈(靺鞨)에 대한 기록 검토-송옥진 file 관리자 2016.10.20 406
227 (21권)노주 김영의의 생애와 사상적 좌표(2)-삼일신고 주해를 중심으로- -박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359
226 (21권)선교(仙敎)의 창교 배경과 신관 연구-불광선인(佛光仙人)을 중심으로- 윤한주 file 관리자 2016.10.20 325
225 (21권)환단고기의 삼신 하느님에 관한 고찰-이찬구 file 관리자 2016.10.20 331
224 (21권)대종교의 삼신일체론-삼국유사와 비교- -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260
223 (20권)명리직업선천성과 진로탄력성,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김기승 file 관리자 2016.10.20 327
222 (20권)알아차림 명상과 미술치료가 성인학습자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영향-김교옥 file 관리자 2016.10.20 321
221 (20권)이희승의 [딸깍발이]에 나타난-‘과학적’ 국어학과 연관하여-김영환 file 관리자 2016.10.20 303
220 (20권)劍道 本에 내재한 원리-無心과 平常心의 不二門-유기홍 file 관리자 2016.10.20 212
219 (20권)근대 유교지식인의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김동환 file 관리자 2016.10.20 165
218 (20권)식민권력의 종교정책과 普天敎의 운명-김철수 file 관리자 2016.10.20 184
217 (20권)국학기공 명상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주의집중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210
216 (20권)고구려 첫 도읍 위치 비정에 관한 검토-임찬경 file 관리자 2016.10.20 358
215 (20권)小河沿문화유적 출토 ‘人形蚌飾’에 보이는 고조선 복식-박선희 file 관리자 2016.10.20 271
214 (20권)규원사화 연구성과와 과제-신운용 file 관리자 2016.10.20 251
213 (20권)노주 김영의의 생애와 사상적 좌표(1)-[삼일신고 주해]를 중심으로-박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179
212 (20권)한국의 유적 및 지명을 통해 본 ‘마고’의 원형-석상순 file 관리자 2016.10.20 297
211 (20권)‘단군’ 인식을 통해 본 오리엔탈리즘-이장희 file 관리자 2016.10.20 15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