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본 연구는 신라 천년고도 경주 낭산을 한국선도적 관점에서 고찰한 연구이다. 초기 
낭산(신유림)은 신라의 대표적인 소도(蘇塗)로 나타나는데, 삼산오악제가 시행되면서 
중악, 삼산과 같은 최고의 지위에 오르게 된다. 진평⋅선덕여왕대에는 제석신앙의 성행 
으로 제석신앙의 성소인 수미산으로 전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이면에 
‘선도제천문화’와 ‘선⋅불습합적 제석신앙’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고찰하였다.
낭산(신유림)은 소도신앙인 전불시대칠가람지 중 하나였는데, 실성왕대에 이르러 
김씨왕족의 성산으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낭산은 중고기 김씨왕실의 왕경오악의 중악

으로 기능하였고 중대에는 삼산의 핵심이 되었다.
삼산오악제는 한국선도기학의 ‘삼원오행론’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며 홍산문화 우하 
량 모신묘의 십자형 구도를 제도적 원형으로 하는 ‘선도제천산’제도였다.
배달국의 선도제천에서 출발하여 단군조선-북부여-신라로 이어진 ‘선도제천문화’가 
중고기 이후 김씨왕실에 이르러 김씨족의 삼신산이었던 낭산에서 그대로 체현되었다.
김유신의 ‘호국삼신녀’설화는 선도제천의 신격이 우주의 근원적 생명력을 의미하는 
마고삼신에서 호국적 의미의 삼신녀로 비소(卑小)화한 전승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호 
국삼신녀’전승은 낭산이 ‘선도제천산’임을 알려주는 중요한 가치를 지닌 기록이다.
또한 김씨족의 왕권강화를 위한 이데올로기로 기능한 제석신앙은 배달국 이래 ‘선도 
제천문화’의 상징인 삼성신앙(환웅신앙)이 불교 내 호법천신신앙으로 화한 선⋅불습합 
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선덕여왕의 장지가 조영되고, 통일 후 낭산에 창건된 사천왕사는 ‘선⋅불습합적 제석 
신앙’의 성전사원으로 호국사찰의 중심터전으로 자리매김한다.
제석신앙의 원형을 선도제천으로 규정할 수 있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석 
신앙이 성행한 진평왕대∼신문왕대와 ‘선도제천산’제도인 삼산오악제의 시행 시기가 
동시대라는 점이다. 둘째, 제석신앙의 신격인 제석이 선도제천의 신격인 삼성(환웅)의 
불교적 변형태라는 점이다. 셋째, 사천왕사의 가람배치에 나타난 오방사상이 한국선도 
기학의 핵심인 삼원오행론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요컨대 낭산에 나타난 ‘선도제천 
산’제도와 ‘선⋅불습합적 제석신앙’의 배후에는 한국선도의 삼원오행사상에 기반한 
‘선도제천문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3 (35권)해양오염, 기후위기, 그리고 홍익인간의 비전 : 지구시민의식의 형성을 중심으로 |나종팔 file 관리자 2024.01.27 1526
282 <26권_자료소개>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대한 하마다 고사쿠의 논문-임찬경 file 관리자 2019.04.22 1478
281 <26권_특별논문>남북한의 단군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1446
280 <26권>‘과학적’ 국어학의 미망-김영환 file 관리자 2019.04.22 1444
279 <26권>곤륜산과 백두산에 관한 한국의 유선문학과 수근목간 형세론-이경룡 file 관리자 2019.01.15 1438
278 <26권>전통문화유산과 대체의학의 융복합을 통한 활용 방안-정유창 file 관리자 2019.04.22 1410
277 (25권)「符都誌」의 콘텐츠에 관한 小考 - “한”과의 중첩 - -박진규 file 관리자 2019.04.22 1370
276 (25권)신라 신왕의 장생불사론 - 신기(神器), 수(壽), 그리고 왕위계승법칙 - -박병섭 file 관리자 2019.04.22 1360
275 <26권_특별논문>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Ⅰ)-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1358
274 (25권)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복기대 file 관리자 2019.04.22 1343
273 <26권_특별논문>풍류도의 현대적 계승, ‘참 멋’의 인간관으로 -범부 김정설의 풍류도적 음악관을 중심으로-박정련 file 관리자 2019.01.15 1327
272 <26권>동서양 양자역학에 내포된 교육학적 의미와 교수-학습방법 탐색-이철규,심준영 file 관리자 2019.04.22 1321
271 (25권)광복 이후 초·중등 국사교과서의 ‘檀君朝鮮史’ 분야 개정 과정 연구-장지화 file 관리자 2019.04.22 1316
270 <26권>노화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 성공적 노화에서 인간완성으로-김일식,김계령 file 관리자 2019.04.22 1309
269 <26권>내 안에서 나를 찾다 : 뇌교육명상 수련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신혜숙 file 관리자 2019.04.22 1305
268 <26권_특별논문>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인합일적 전통 계승의 의미-서호찬 file 관리자 2019.04.22 1304
267 <26권>홍주의병운동과 독립전쟁의 사회사상사적 의의-김철수 file 관리자 2019.04.22 1283
266 <36권>영가무도의 계승현황 및 대중화 발전방안 -- 정안철 유중열 file 관리자 2024.06.09 971
265 <36권>지리적 개념으로 본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 -- 윤병모 file 관리자 2024.06.09 933
264 <36권>말갈문화의 기원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민성욱 file 관리자 2024.06.09 9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