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규원사화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25년 [단전요의(檀典
要義)]가 간행되면서 부터이다. 항일전쟁기에 양주동 등이 비장하던
규원사화는 국권회복 이후 본격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났다. 1968년
최초로 규원사화를 번역 출간하여 연구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신학균은 높이 평가받아 마땅하다.
1970,80년대는 주로 번역서 중심으로 규원사화론이 확산되었다.
특히 국립중앙도서관이 김수일 소장본(1946년)이 진본임을 1972년에
판명한 것은 규원사화의 연구가 촉진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
는 점에서 규원사화 연구사에 기록되어야 할 일대 사건이었다. 1977
년 송찬식 등의 위서 주장도 있었지만 규원사화 연구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오히려 1981년 정영훈의 석사학위논문이 나오는 등
80년대 전반기에는 규원사화 연구가 역사학을 넘어 종교학,국문학
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1980년 중반 이후
조인성을 필두로 ‘위서설’이 다시 등장하였고, 이에 이상시가 반격을
가하는 연구양상이 전개되었다.
1990년대의 규원사화 연구는 1990년 초반부터 박광용의 위서 주장
으로 연구 열기는 한층 뜨거워졌다. 이에 대해 임승국,정영훈 등이
적절하게 대응하였으며 연구 수준은 더욱 깊어졌다. 무엇보다 정영
훈의 박사학위 논문과 심백섭의 석사학위 논문이 나오는 등 연구수
준은 더욱 발전하였다. 이 무렵 정영훈은 괄목할만한 연구성과를 내
놓았다. 그 연구분야도 예술론으로까지 확대되었다.
2000년대 규원사화 연구는 전 시대보다 정치,철학 등 다양한 측
면에서 이루어졌다. 물론 이는 연구의 다양화라는 점에서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대 규원사화 연구의 특징은 위서설이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였지만 상대적으로 규원사화가 진서라는 연구
성과와 인식의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이시기 시민단체와 학자들이 중국의 한국 상고사 왜곡에 대
한 대항이론을 규원사화에서 찾고 있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는 식
민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국 상고사 연구 방향에 대한 본질적
비판이며 식민사관의 극복을 위한 필사의 노력에 따른 결과이었다.
유가의 입장에서 서술된 한국사는 더 이상 주류시각이 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이 시기 남북이 규원사화를 매개로 상고사 인식을 공유
하였다는 사실도 주목된다. 2006년 남북학술대회는 이러한 가능성을
규원사화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하지만 더 이상
남북의 공동연구가 진척되지 못한 점은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이 시기의 다른 특징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관
계자들이 적극 참여는 등연구자의 다양화를 들 수 있다. 물론 이는
여러 방면에서 규원사화를 연구한 결과에 따른 것이지만 이전시기보
다 선사와 선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깊어지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는 대과제로 선교사관의 정립이라는 대과제 아
래 크게 대과제 소과제로 (1) 규원사화 속의 용어 대한 엄밀한 연구
(2) 한국사상사 상의 규원사화의 위치 확립을 위한 노력 (3) 규원사화
내용의 과학적인 논증방법 동원 (5) 신학,국문학,민속학,예술학
등의 분야로 연구의 확산 (6) 규원사화 관련 논문에서 위서설의 기술
은 이제 지양으로 압축할 수 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8 <26권>‘과학적’ 국어학의 미망-김영환 file 관리자 2019.04.22 562
277 <26권>내 안에서 나를 찾다 : 뇌교육명상 수련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신혜숙 file 관리자 2019.04.22 548
276 <26권>노화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 성공적 노화에서 인간완성으로-김일식,김계령 file 관리자 2019.04.22 545
275 <26권>동서양 양자역학에 내포된 교육학적 의미와 교수-학습방법 탐색-이철규,심준영 file 관리자 2019.04.22 565
274 <26권>홍주의병운동과 독립전쟁의 사회사상사적 의의-김철수 file 관리자 2019.04.22 537
273 <26권>전통문화유산과 대체의학의 융복합을 통한 활용 방안-정유창 file 관리자 2019.04.22 560
272 <26권>곤륜산과 백두산에 관한 한국의 유선문학과 수근목간 형세론-이경룡 file 관리자 2019.01.15 632
271 <26권_특별논문>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Ⅰ)-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618
270 <26권_특별논문>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인합일적 전통 계승의 의미-서호찬 file 관리자 2019.04.22 553
269 <26권_특별논문>남북한의 단군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604
268 <26권_특별논문>풍류도의 현대적 계승, ‘참 멋’의 인간관으로 -범부 김정설의 풍류도적 음악관을 중심으로-박정련 file 관리자 2019.01.15 571
267 (25권)광복 이후 초·중등 국사교과서의 ‘檀君朝鮮史’ 분야 개정 과정 연구-장지화 file 관리자 2019.04.22 563
266 (25권)신라 신왕의 장생불사론 - 신기(神器), 수(壽), 그리고 왕위계승법칙 - -박병섭 file 관리자 2019.04.22 573
265 (25권)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복기대 file 관리자 2019.04.22 594
264 (25권)신라초 북부여계 파소·박혁거세의 단군조선 계승과 태백산의 마고제천-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630
263 (25권)「符都誌」의 콘텐츠에 관한 小考 - “한”과의 중첩 - -박진규 file 관리자 2019.04.22 547
262 (25권_특별)용서하는 인간-뇌교육적 인간학을 위한 시론(試論)-이승호 file 관리자 2019.04.22 521
261 (25권_특별)선도문화와 용서-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543
260 (24권)소강절의 심성론과 수양론 연구-정환희 file 관리자 2019.04.22 557
259 (24권)최한기 측인법의 관상학적 접근-조규문 file 관리자 2019.04.22 57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