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B.C. 3세기~B.C. 1세기 무렵 단군조선의 와해 과정에서 단군조선의
많은 엘리트 세력이 한반도·일본열도 방면으로 이주하였다. 북부여 왕실
출신의 선가 파소·박혁거세 세력은 한반도 남쪽 경주 분지로 이주, 仙桃
山 ‘壇(祭天壇)·廟(祭天廟)’에서의 ‘마고제천’을 통해 사상·종교적 주도
권을 장악하였고 이로써 6촌 세력의 규합에 성공, 사로국을 개창하고 진
한의 맹주로 도약하였다.
선도 전통에서는 단군조선이 중국 한나라에 밀려 와해된 근본 원인을
음양오행론이라는 현상(물질)에 치우친 가치관이 단군조선으로 유입되어
단군조선의 삼원오행론, 곧 본질(생명氣, 밝음)과 현상(물질)을 하나로 바
라보는 전통적인 가치관을 와해시켰던 때문으로 본다. 단군조선·북부
여계 엘리트 선가였던 파소·박혁거세는 이러한 인식에 따라 중국문화에
대한 경계와 방어를 표하고 단군조선의 선도문화에 대한 강력한 수호 의
지를 천명하였다.
단군조선의 선도 복건론은 ‘符都復建論’으로 개념화되었다. ‘符都’란 ‘천
부사상의 중심지’라는 뜻으로 단군조선을 의미하는데, 이때의 단군조선
은 ‘영토·정치’의 차원이 아니라 ‘사상·문화’의 차원, 곧 ‘선도문화’의 차
원이었다. 고구려 ‘多勿主義’류의 ‘단군조선의 구토 회복론’과 차별화되는
단군조선의 사상·문화적 정체성 회복론으로 그 사상사적 가치가 다대하
다.
박혁거세가 추진한 선도 복건 정책의 중심에는 ‘백두산의 신시(제천단
시설)를 계승한 태백산 신시 중창’ 사업이 자리하였다. 단군조선의 삼신
산이었던 태백산(현 백두산)과 백두대간으로 연결되어 있는 남태백산(현
태백산)을 백두산을 대신한 새로운 삼신산으로 지목, 그 정상에 제천단을
중창하였다. 이는 당시 진한 일대에서 펼쳐진 새로운 차원의 마고제천문
화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백두산 신시의 직접적인 계승을 표방하

면서 행해진 남태백 신시에서의 제천은 단군조선계 유민들의 깊은 공감
을 이끌어내었고 이러한 이념성은 진한12국을 결집시키는 핵심 명분으로
작용, 사로국을 진한12국의 맹주로 우뚝 서게 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5 [34권]울진 후포리유적과 한반도 남부의 신석기 선도제천문화 |최수민 file 관리자 2023.03.19 1612
314 <27권>사제로서의 단군과 무당의 역할연구-김영숙 file 관리자 2019.11.01 1611
313 <27권>일제감점기 강화의 마니산 참성단과 삼랑성에 대한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19.11.01 1611
312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유적의 역사적 가치와 한국사회의 인식--장우순 file 관리자 2021.05.28 1605
311 (32권)김광린--지구화, 지구시민, 그리고 홍익인간사상 : 상생과 조화의 지구촌을 향하여 file 관리자 2022.03.19 1600
310 [34권]태백산 제천문화권, 대관령 ‘국사성황사’의 구조 및 신격 연구 |박지영 file 관리자 2023.03.19 1600
309 (35권)과소결정과 증명의 이데올로기 |이승종 file 관리자 2024.01.27 1598
308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의 풍수지리 입지특성과 역사문화 형성에 관한 연구--김기찬 file 관리자 2021.05.28 1597
307 (31권)근대 이후 한국선도 전통의 회복 과정과 ‘선교’ 등장/석상순 file 관리자 2021.09.26 1597
306 (35권)일제 강점기 중국에서의 개천절 기념식 연구 |조남호 file 관리자 2024.01.27 1596
305 <27권>국권회복(1945)이전 '3.1혁명'에 대한 평가-인식과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19.11.01 1594
304 (35권)양주동 소장본 규원사화의 발견과 그 의미 : 판본의 진위와 연대 문제를 중심으로 |임채우 file 관리자 2024.01.27 1592
303 (35권)뇌기능 조절의 관점에서 바라본 선도 수행 : 지감⋅조식⋅금촉을 중심으로 |신혜숙 file 관리자 2024.01.27 1592
» (25권)신라초 북부여계 파소·박혁거세의 단군조선 계승과 태백산의 마고제천-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1588
301 [34권]서구적 건강 패러다임과 홍익인간사상의 통합적 사유: 건강한 지구촌을 위한 보완적 협력 |김광린 file 관리자 2023.03.19 1588
300 <27권>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II)-정경희 file 관리자 2019.11.01 1583
299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 호반관광지 개발의 환경영향 등 연구--정연돈 file 관리자 2021.05.28 1583
298 (35권)「계사상」 제10장의 역철학적(易哲學的) 고찰 : 정역(正易)을 중심으로 |이종숙⋅임병학 file 관리자 2024.01.27 1577
297 (35권)양자(量子)시대 세계관의 변경에 대한 동양 형이상학에서의 이해 : 부(附). 상수학적(象數學的) 기(氣)의 존재와 운동을 중심으로 |민영현 file 관리자 2024.01.27 1569
296 [34권]한국선도와 ESG 경영의 공생 정신 |허성관 file 관리자 2023.03.19 15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