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본 논문은 『주역』 雷火豐卦의 「大象傳」에 대한 종래의 해석이 가진 논
리적 오류를 비판하고 본래의 뜻에 맞는 새로운 해석을 보고한다. 雷火
豐卦 「대상전」의 문장은 두 소성괘 사이의 구조를 표현하는 ‘雷電皆至’
와, 괘상의 의미로부터 추출된 ‘折獄致刑’이라는 군자의 책무로 구분된
다. 先儒들은 ‘雷’를 ‘천둥소리’로 여기고 ‘火’를 ‘번개’로 여겨서, 천둥소
리와 번개가 함께 이르는 동시적 효과의 ‘위엄’과 ‘밝음’을 豐의 뜻으로
헤아렸다. 이 때문에 뒤에 이어지는 문장인 ‘折獄’은 위엄을 발휘하여
‘옥사를 결단하는 의미’로 해석하고, ‘致刑’은 죄의 경중을 밝게 헤아려
서 ‘형벌을 가하는 의미’로 해석하게 되었다.
선유들의 해석은 군자의 責務와 義理에는 그 뜻이 부합될지 모르겠으
나, ‘풍요로움’을 의미하는 雷火豐의 상황에 대한 해설로는 적합하지 않
다. 이들의 해설에 몇몇 논리적 오류가 포함된 결과, 전체의 의미는 본
래의 뜻과 전혀 다른 쪽으로 흘러버렸다. 雷火豐의 본래 뜻은 새로운
생명의 출생을 의미한다. ‘雷電皆至’는 출산의 때에 ‘태아의 이동(雷)’과
‘산모의 고통(電)’이 함께 찾아오는 것을 의미하며, ‘折獄致刑’은 태아가
일정기간의 형기를 마친 죄수처럼 태막을 찢고 산모의 뱃속에서 석방되
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의 출생뿐만 아니라, 알껍질을 깨고 나오는 어린
병아리로부터 가을에 깍지를 벗고 떨어지는 모든 백곡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생명의 출생이 豐의 상태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雷火豐을 포함한 『주역』의 64괘 대부분의 「대상전」에 대한 해설은 본
래의 뜻과는 다른 논리적 오류를 품고 있다. 괘상의 의미와 작용을 정
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것이 誤譯의 가장 큰 이유였겠지만, 『주역』의 학
설을 국가가 주도하고 선유의 학설이라면 무조건 수용하는 획일적인 학
통의 영향 또한 적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대상전」을 비롯한
 
『주역』의 경구는 새롭게 해석되어야 한다. 선유들의 학설은 참고만 할

뿐 괘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들 사이의 작용을 새롭게 분석하는 일
이 다시 시작되어야 하는 것이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3 (13권)태안지역 무속문화의 선도문화적 고찰 (신상구) file 관리자 2016.10.20 264
302 (16권)뇌교육의 ‘신성(神性)’ 개념과 신경과학적 접근을 통한 ‘신성 인식’에 관한 시론(試論)적 이해-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264
301 (15권)神仙의 飛行-김현수 file 관리자 2016.10.20 266
300 (16권)영가무도에 대한 문헌고찰 및 대체의학에서의 연구방향-정유창,김영희 file 관리자 2016.10.20 266
299 (14권)<주역>에 나타난 ‘도道’로 명명된 개념의 분류와 그 함의 - 이선행 file 관리자 2016.10.20 267
298 (14권)행복해지는 단전주선(丹田住禪) 8주프로그램 과정과 효과-김성장 file 관리자 2016.10.20 267
297 (8권)韓國과 日本의 祭天文化 比較(박성수) file 관리자 2016.10.20 268
296 (15권)단기연호 법제화의 민족사 및 문명사적 의미에 관하여-양승태 file 관리자 2016.10.20 269
295 (12권)민생을 위한 백용(百用)의 실천가, 이지함. (김성환) file 관리자 2016.10.20 270
294 (23권)官僚腐敗의 莊子 內丹法 治癒事例 分析-이종수 file 관리자 2019.04.22 270
293 (9권)치우천왕의 금속무기 제작과 청동기시대 편년 (박정학) file 관리자 2016.10.20 271
292 (14권)청학집과 규원사화에 보이는 한국도교에 대한 고증 연구-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71
291 (15권)낙랑과 백제와의 관계 고찰을 통한 말갈의 위치 연구-민성욱 file 관리자 2016.10.20 271
290 (15권)선조의 주역과 참동계 연구, 그리고 동의보감-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272
289 (14권)박은식의 서간도 망명기 저술 소고-조준희 file 관리자 2016.10.20 273
288 (4집)天符과 道敎宇宙論의 比較硏究|류중위 file 관리자 2016.10.20 274
287 (9권)환단고기에 나타난 곰과 범의 철학적 의미 (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74
286 (14권)동학의 수도(修道)와 주문(呪文) 수련의 의미-김용휘 file 관리자 2016.10.20 274
285 (15권)호흡명상 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뇌파특성 비교 연구-좌성민 file 관리자 2016.10.20 274
284 (10권)홍익인간의 현대적 재해석 (김선미) file 관리자 2016.10.20 27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