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선도문화 제31권>

 

단재 신채호는 한국사에서 평양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었다. 그것 은 역사지리 연구의 어려움을 간파한 것이었다. 일본이 식민주의사관의 일 환으로 심어준 반도사관 등의 영향으로 패수를 지금의 대동강으로, 고대 평양을 지금의 북한 평양으로 인식함으로써 고구려 평양성뿐만 아니라 단군 조선과 위만국의 왕검성까지 지금의 압록강 이남으로 설정, 민족의 강역을 반도 안에 갇히게 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한사군도 한반도 안에 설정, 식민 지배의 역사성을 강조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피해의식이 여기에서부터 기인 한다. 
고대 평양은 고유 명사라기보다는 도읍지로 할 만한 넓은 평야지역을 일 컬었던 일반명사일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기록 으로 본 고구려 천도의 역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말갈은 고구려를 구성하는 주요 종족 중 하나로 고구려가 건국되기 전부 터 존재했었고, 특히 고구려 초기 건국지에 정착해서 살고 있던 말갈집단은 갈등도 있었지만 고구려에 흡수되어 그 이후 고구려의 주요한 군사자원이 되어 주었고 고구려가 멸망하자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진국, 곧 발해를 건국 하게 이른다.
이러한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하기 위해서 장수왕 때 고구려 수도였던 평 양으로 도읍지를 옮기게 되는데, 그곳이 바로 발해 3대 문왕 때 옮긴 도읍지, 중경현덕부다. 이것은 발해 5경 중 하나이며, 요나라 때는 동경요양부로 지금의 요령성 요양지역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고대 만주지역에서 발원한 국가들은 평양지역을 거점으로 삼았 는데, 대표적인 나라가 고구려가 있고, 고구려의 정통성을 계승한 발해가 있다. 고구려 장수왕이 천도한 평양성과 발해 문왕이 천도한 중경이 지금의 요양으로 같은 곳이었다. 고대 평양성을 매개로 고구려와 발해 그리고 고구 려의 구성원으로서 발해 건국의 주체이기도 한 말갈의 위치를 헤아려 볼수 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3 (6집)선가 자료 청학집 의 자료적 검토(김성환) file 관리자 2016.10.20 302
322 (6집)선도사서 규원사화 해제-위작설에 대한 쟁점을 중심으로- (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308
321 (6집)여말 학계와 天符經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209
320 (6집)참전경(參佺經) 해제(解題)와 그 문화사상적 의의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200
319 (6집)한국 상고사 연구에 있어서 고고학 응용에 관하여-요서 지역 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복기대) file 관리자 2016.10.20 278
318 (6집)한국선도문헌의 연구사 소고 (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194
317 (6집)홍익인간사상에서 신인합일론 소고 (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244
316 (7집)고구려 주몽왕의 계보와 건국 장소 및 시점 (박병섭) file 관리자 2016.10.20 731
315 (7집)도교적 사유체계와 그 相同ㆍ相異에 관한 연구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196
314 (7집)삼일신고 독경 연구 (조준희) file 관리자 2016.10.20 227
313 (7집)선도수련에서의 뇌 개념의 의의 (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31
312 (7집)예(濊)와 단군의 형태 (정호완) file 관리자 2016.10.20 178
311 (7집)한국의 태권도와 선도 (박성수) file 관리자 2016.10.20 200
310 (7집)[특별기고]주역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초청강연 file 관리자 2016.10.20 345
309 (8권)삼국ㆍ고려시대의 제천의례와 문제(박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239
308 (8권)韓國과 日本의 祭天文化 比較(박성수) file 관리자 2016.10.20 223
307 (8권)조선 및 한국 근대의 제천 문화(이욱) file 관리자 2016.10.20 196
306 (8권)단애 윤세복의 민족학교 설립 일고찰(조준희) file 관리자 2016.10.20 213
305 (8권)윷의 기원문제와 말판의 철학적 의미(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63
304 (8권)‘고맙다’의 문화기호론(정호완) file 관리자 2016.10.20 16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