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선도문화 제31권>

 

이 글은 풍류화랑의 도덕교육 활용방안을 연구한 글이다. 풍류화랑의 도 덕교육 활용방안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풍류화랑이 나타난  난랑비서 (鸞郞碑序)  텍스트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풍류화랑의 도덕교육 기능을 탐색한다. 또한 현묘지도(玄妙之道)의 도의(道義) 교육 지식을 살펴보고 풍 류화랑의 교육 지평을 고찰하며, 접화군생(接化群生)의 덕화(德化) 핵심 가 치를 인격함양에서 탐색하여 인격교육의 명료화를 꾀하고자 한다. 고운 최치원 저술, 난랑비서는 분량 면에서 비록  짧지만, 우리나라에 고유한 풍류도가 있음을 밝혀 준 소중한 자료이다. 일찍이 난랑비서에 나타난  풍류도에 관해서는 신채호, 최남선, 김범부 등이 소개한 바 있다. 그런데   최문창후전집(崔文昌侯全集)(1925) 「고운선생사적(孤雲先生事 蹟)」편에는 「천부경(天符經)」과 「난랑비서」가 나란히 소개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풍류화랑의 도덕교육  활용방안을 규명하기 위해서 현묘지도의 도의, 접화군생의 덕화, 그리고 천지인 삼재(天地人三才) 교육의 상관관계 에 초점을 맞추어 전통적 풍류화랑의 도덕교육 활용방안을 밝히고자 한다. 유(儒)ㆍ불(佛)ㆍ선(仙)에서 충효ㆍ무위ㆍ선행의 실천 덕목을 서로 매개 함으로 풍류도가 추구하는 접화군생 덕화의 공공생명 작용이 치화ㆍ조화ㆍ 교화 도리의 공공연대 체계라고 할 것이다. 일찍부터 풍류화랑은 명산대천 에서 심신을 단련하고 학술과 기예를 함께 연마한 공공 주체로서 삶을 영위 하였다. 고운이 풍류가 유ㆍ불ㆍ선 삼교를 포함한다는 표현에서 우리는 심 신수련ㆍ심신연마를 통해 국가적으로 리더십을 갖춘 군자로서 교육하고, 천지만물과 조화를 이루는 참사람으로 훈육하며, 반야지혜(般若智慧)로 중 생을 교화하는 보살의 길을 닦아 더불어 살아가는 천지인 삼재 묘리 체득의 인격함양으로 도덕교육에 기여함을 모색한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3 (6집)선가 자료 청학집 의 자료적 검토(김성환) file 관리자 2016.10.20 296
322 (6집)선도사서 규원사화 해제-위작설에 대한 쟁점을 중심으로- (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302
321 (6집)여말 학계와 天符經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205
320 (6집)참전경(參佺經) 해제(解題)와 그 문화사상적 의의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199
319 (6집)한국 상고사 연구에 있어서 고고학 응용에 관하여-요서 지역 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복기대) file 관리자 2016.10.20 273
318 (6집)한국선도문헌의 연구사 소고 (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191
317 (6집)홍익인간사상에서 신인합일론 소고 (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237
316 (7집)고구려 주몽왕의 계보와 건국 장소 및 시점 (박병섭) file 관리자 2016.10.20 722
315 (7집)도교적 사유체계와 그 相同ㆍ相異에 관한 연구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187
314 (7집)삼일신고 독경 연구 (조준희) file 관리자 2016.10.20 221
313 (7집)선도수련에서의 뇌 개념의 의의 (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26
312 (7집)예(濊)와 단군의 형태 (정호완) file 관리자 2016.10.20 176
311 (7집)한국의 태권도와 선도 (박성수) file 관리자 2016.10.20 197
310 (7집)[특별기고]주역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초청강연 file 관리자 2016.10.20 339
309 (8권)삼국ㆍ고려시대의 제천의례와 문제(박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235
308 (8권)韓國과 日本의 祭天文化 比較(박성수) file 관리자 2016.10.20 218
307 (8권)조선 및 한국 근대의 제천 문화(이욱) file 관리자 2016.10.20 192
306 (8권)단애 윤세복의 민족학교 설립 일고찰(조준희) file 관리자 2016.10.20 206
305 (8권)윷의 기원문제와 말판의 철학적 의미(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57
304 (8권)‘고맙다’의 문화기호론(정호완) file 관리자 2016.10.20 16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