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선도문화 제30권>

 

조선후기의 대혼란속에서 싹트고 발전한 민중종교운동은 말세론을 배경 으로 전개된다. 천주교의 말세론에서 영향을 받은 정감록의 말세 개념은 19세기 말에 이르면 동학과 증산교 등의 후천개벽(後天開闢) 개념으로 발전 하는데, 이는 기독교의 종말론과 역학의 순환적 세계관이 결합되어서 형성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천주교의 교리나 마테오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등의 선교사의 저술이 알려지면서 천주(天主)란 개념이 정감록에서는 말세의 진주(眞主) 로 수용되면서, 근대민중종교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정감록에 새로 운 세계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정도령은 전통적 성인관과는 차이가 크며, 어지러운 세상을 구원하는 구세주로서 기독교의 구원관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요약하면 17세기 수입된 서학에서 전파된 새로운 사상은 18세기에는 정감 록의 종말론과 정도령론을 형성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끼쳤고, 이 정감록사 상은 19세기 말에 이르러선 근대민중종교운동에서의 후천개벽개념, 후천세 계의 진주(眞主) 개념으로 이어지면서, 암울했던 조선의 멸망과 일제강점기 에 민중들을 위로하며 새로운 시대를 기대하는 희망의 등불로 작용할 수 있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3 (11권)대종교 단군 영정의 기원과 전수문제 (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199
322 (12권)민생을 위한 백용(百用)의 실천가, 이지함. (김성환) file 관리자 2016.10.20 199
321 (6집)참전경(參佺經) 해제(解題)와 그 문화사상적 의의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200
320 (7집)한국의 태권도와 선도 (박성수) file 관리자 2016.10.20 200
319 (10권)孟子 ‘四端說’의 易學的 考察 (조동욱) file 관리자 2016.10.20 200
318 (11권)한국선도의 수행론을 통해 본 ‘아’음성수련법 (김영숙) file 관리자 2016.10.20 200
317 (15권)전통 중국의 天道自然觀과 ‘經世’-魏晋 玄學을 중심으로- -전인갑 file 관리자 2016.10.20 200
316 (9권)배달국 말기 ‘天孫文化’의 재정립과 ‘치우천왕’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201
315 (13권)국학과 민세 안재홍의 정치사상 (김광린) file 관리자 2016.10.20 202
314 (12권)<元曉不羈>의 문화콘텐츠적 탐색 (이동근,정호완) file 관리자 2016.10.20 204
313 (8권)泰安地域 巫俗人들의 종이 오리기 工藝에 대한 一考察(신상구) file 관리자 2016.10.20 205
312 (13권)律呂로서의 詠歌舞蹈의 心身治癒에 관한 硏究 (유영준) file 관리자 2016.10.20 206
311 (9권)고구려 신화의 성립과 소서노 배제의 정치사회학 (권도경) file 관리자 2016.10.20 207
310 (14권)고대의 동이 인식-송옥진 file 관리자 2016.10.20 207
309 (16권)뇌교육의 ‘신성(神性)’ 개념과 신경과학적 접근을 통한 ‘신성 인식’에 관한 시론(試論)적 이해-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207
308 (10권)[특별논문]한일천손문화론 외 1편 (나카오히로시,이노우에미쓰오) file 관리자 2016.10.20 208
307 (6집)여말 학계와 天符經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209
306 (14권)구비설화를 통해 본 ‘마고’의 원형-석상순 file 관리자 2016.10.20 209
305 (14권)중국학계의 거란 東쪽 국경에 인식에 對하여-복기대 file 관리자 2016.10.20 210
304 (9권)계보위축변천과정, 신구왕호 토픽 그리고 환단고기 신 진위검토방법(1) (박병섭.박병훈) file 관리자 2016.10.20 2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