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 |
내 안에서 나를 찾다 : 뇌교육명상 수련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신혜숙
|
관리자 | 2019.04.23 | 39 |
282 |
일본신도 신악가(神樂歌)의 신격(神格)연구-아지메(阿知女)를 중심으로/이강민
|
관리자 | 2020.03.19 | 39 |
281 |
풍류도의 현대적 계승, ‘참 멋’의 인간관으로-박정련
|
관리자 | 2019.03.19 | 40 |
280 |
요양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관한 두 편의 논문-박지영,임찬경
|
관리자 | 2019.04.23 | 40 |
279 |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Ⅰ)-정경희
|
관리자 | 2019.03.19 | 43 |
278 |
소강절의 심성론과 수양론 연구-정환희
|
관리자 | 2019.04.23 | 43 |
277 |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복기대
|
관리자 | 2019.04.23 | 43 |
276 |
‘과학적’ 국어학의 미망-김영환
|
관리자 | 2019.04.23 | 43 |
275 |
요서지역 거란 전탑에 관하여-백만달
|
관리자 | 2019.11.01 | 43 |
274 |
동서양 양자역학에 내포된 교육학적 의미와 교수-학습방법 탐색-이철규 심준영
|
관리자 | 2019.03.19 | 45 |
273 |
신라 신왕의 장생불사론- 신기(神器), 수(壽), 그리고 왕위계승법칙 -박병섭
|
관리자 | 2019.04.23 | 45 |
272 |
풍류도의 현대적 계승, ‘참 멋’의 인간관으로 -범부 김정설의 풍류도적 음악관을 중심으로-박정련
|
관리자 | 2019.04.23 | 45 |
271 |
남북한의 단군연구-조남호
|
관리자 | 2019.04.23 | 45 |
270 |
배달국 초 백두산 천평문화의 개시와 한민족(예맥족·새밝족·맥족)의 형성/정경희
|
관리자 | 2020.03.19 | 46 |
269 |
한·일 고대문화의 ‘소시모리(曾尸茂利)’와 ‘蘇塗’의 연관성-김철수
|
관리자 | 2019.04.23 | 47 |
268 |
말갈과 여러 민족 간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연구-민성욱
|
관리자 | 2019.04.23 | 47 |
267 |
고전(古典)에 담겨있는 꿈과 해몽에 대한 고찰/조규문
|
관리자 | 2020.03.19 | 49 |
266 |
동서양 양자역학에 내포된 교육학적 의미와 교수-학습방법 탐색-이철규,심준영
|
관리자 | 2019.04.23 | 50 |
265 |
‘단(檀)’과 홍익인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어원을 중심으로-이찬구
|
관리자 | 2019.04.23 | 51 |
264 |
광복 이후 초·중등 국사교과서의 ‘檀君朝鮮史’ 분야 개정 과정 연구-장지화
|
관리자 | 2019.04.23 | 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