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한민족의 오랜 역사에서 ‘한국⋅조선⋅고려’의 국명(國名)은 수백 년에서 수천 년의 간격으로 반복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후대 국가가 선대 국가의 영광과 전통을 이어받았 음을 강조함으로써 내부 결속을 다질 수 있었고, 대외적으로도 계통성과 역사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여는 북부여로부터 남부여에 이르는 동안 기본적으로 ‘부여’라 는 국명을 계속 유지했다. 부여는 강력한 리더십을 가진 세력이 등장하거나 고대 국제관 계에서 신흥 패권국가의 등장으로 국가의 위기가 왔을 때마다 변화를 선택했다. 이것을 연구자는 ‘분국(分國)’이라 정의하였다. 분국이란 기존의  권력자가 신진세력에 의해 축출되어  죽임을  당하는 것이 아닌, 양위(讓位)를 한 뒤 자신의 추종 세력과 다른 지역으 로 옮겨 왕실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고대사회에 알려진 제후국과는 다른 개념이 며, 종중(宗中)에서 지파(支派)가 분가하며 이룬 일족(一族)인 문중(門中)의 관계와 유사 하다. 이와 관련하여 분국의 조건을 제시하였다. 첫째, 건국 과정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존 왕실과 새 왕실은 혈연적  또는 계통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셋째, 분국을 하는 국가는 반드시 새로운 곳으로 이주하여 건국해야 한다. 넷째, 국명(國名)의 연속성이 있어야 한다. 다섯째, 본국과 분국은 불평등한 관계가 아니다. 이 가운데 평화적 합의와 절차가 제일 중요한 조건이다. 이러한 분국은 부여에서 처음 시작된 것이 아니라, 환국으로부터 분국한 신시배달국의 건국 과정이 분국의 기원으로 볼 수 있으며, 부여가 이 전통을 계승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두 가지 사항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북부여를 제외한 동부여와 서부 여의 건국 과정을 분국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소왕 사후 고구려에 투항한 대소의 사촌 동생과 1만여 명의 옛 동부여 유민들은 연나부 관할지에서 새로운 부여(낙씨왕계)를 건국하였는데, 연구자는 그동안 부여국명이 ‘방향 + 부여’로 불렸던 관례를 따라 ‘서부여’로 칭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부여분국도]를 통하여 부여사 전체 의 계보를 정리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3 (12권)檀紀 年號 成立의 歷史的 背景 (김동환) file 관리자 2016.10.20 243
342 (12권)근현대 한국선도의 장생론 (안진경) file 관리자 2016.10.20 243
341 (15권)蘇塗와 神社-한⋅일 聖所文化의 親緣性에 관한 연구--김철수 file 관리자 2016.10.20 243
340 (11권)대종교 단군 영정의 기원과 전수문제 (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44
339 (14권)易學에 있어서의 ‘先後天’과 ‘道義之門’ - 송재국 file 관리자 2016.10.20 245
338 (9권)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 과제와 홍익인간 사상의 의미 (오화영) file 관리자 2016.10.20 247
337 (9권)천부수리로 본 여가의 구조 (김용상) file 관리자 2016.10.20 247
336 (8권)조선 및 한국 근대의 제천 문화(이욱) file 관리자 2016.10.20 248
335 (3집)「蘇塗經典本訓」에 나타난 三․一의 의미맥락(context)과 天符經의 철학사상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249
334 (12권)해방 후 단군 인식의 변화와 문제 -단군영정과 단기연호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49
333 (13권)律呂로서의 詠歌舞蹈의 心身治癒에 관한 硏究 (유영준) file 관리자 2016.10.20 249
332 (23권)홍익인간, 지구시민,그리고 지구경영- 김광린 file 관리자 2019.04.22 249
331 (9권)李穀과 鄭--의 詞에 투영된 “蔚州八景” 형상 考 (이태형) file 관리자 2016.10.20 250
330 (13권)「천부경」의 사상적 함의에 대한 簡論 (강욱) file 관리자 2016.10.20 250
329 (7집)한국의 태권도와 선도 (박성수) file 관리자 2016.10.20 251
328 (12권)<元曉不羈>의 문화콘텐츠적 탐색 (이동근,정호완) file 관리자 2016.10.20 251
327 (9권)韓國仙道 本體論 硏ネ究에 대한 試論 (이승호) file 관리자 2016.10.20 252
326 (11권)한국선도의 수행론을 통해 본 ‘아’음성수련법 (김영숙) file 관리자 2016.10.20 252
325 (13권)국학과 민세 안재홍의 정치사상 (김광린) file 관리자 2016.10.20 252
324 (8권)泰安地域 巫俗人들의 종이 오리기 工藝에 대한 一考察(신상구) file 관리자 2016.10.20 25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