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선도문화 제31권>

 

특정 국가가 멸망하더라도 그 국가의 국민들이 견지해 오던 풍속과 문화 는 쉽사리 변화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고구려의 서옥제는 홍익인간의 이념을 통치사상으로 삼았던 단군조선시대의 풍속과 깊은 연관을 지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홍익인간사상의 이상은 남녀노소, 인종 및 국적, 그리고 사회적 신분과 지위를 뛰어넘어, 가족을 포함한 제반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상호 존중하며 상생과 조화의 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다.
홍익인간사상에 의하면, 사람을 포함하는 우주 내 모든 존재는 동일한 근원으로부터 갈라져 나왔으며, 이런 점에서 사람을 포함하는 우주 내 모든 존재는 단일의 우주공동체(일가, 一家)를 이룬다. 우주 내 모든 존재 중 사람은 특히 근원자인 ‘하나’의 속성을 온전히 내재한 존재이다. 곧 홍익인 간사상에서 사람은 하나님 그 자체이며, 이와 같은 점에서 남녀노소 모든 사람은 서로를 존중해야 할 원천적 의무를 지닌다.
홍익인간사상이 강조하는 주요 내용의 하나는, 사람은 자신에 내재해 있 는 근원자의 품성과 속성을 깨달아 근원자와 합일을 이루고(성통), 이러한 깨달음을 실천하는 차원에서 조화로운 공동체를 실현하고 이끌어 나가는 책무(공완)를 지닌 존재라는 것이다. 이러한 홍익인간사상의 이상 혹은 이 를 구현할 사람의 책무는 가족공동체를 통해서도 구현되고 실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민족 선조들이 배달국 등 공동체를 이루고 홍익인사상의 이상 을 실천하던 과정에 관한 기록에서 우리가 눈여겨 보아야 할 대목이다. 환웅 과 웅녀 간 결합 또한 인종과 문화와 지위를 뛰어 넘는 상호 존중의 정신에 입각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홍익인간의 이상을 잘 표상해 주고 있다. 홍익인간을 통치이념으로 삼았던 단군조선의 후계국가의 하나인 고구려 의 서옥제 등 우리민족 고유의 가족문화 속에서 가족구성원이라면 친가와 외가를 막론하고, 심지어 재산 상속과 같은 중요한 가족문제에서조차 그 누구도 차별받지 않았으며, 배우자 선택에서도 아무런 제약이 없었고, 심지 어 홀로된 여성의 재가 또한 완전한 자유선택에 맡겨져 있었음을 각종 문헌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고려는 물론 17세기 이전 시기의 조선에서도 확인되고 있 다. 이는 혼인 후에 딸이 친정에서 오랫동안 지내는 까닭에 딸은 물론, 사위 및 외손까지도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었기에 가능하였던 것으로 판단된 다. 각자의 자유 선택 및 구성원간 상호 존중의 이와 같은 홍익가족문화는 오늘날의 시점에서도 많은 시사점을 지닌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0 (20권)알아차림 명상과 미술치료가 성인학습자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영향-김교옥 file 관리자 2016.10.20 329
329 (20권)이희승의 [딸깍발이]에 나타난-‘과학적’ 국어학과 연관하여-김영환 file 관리자 2016.10.20 316
328 (19권)경침 뇌파진동수련 프로그램이 당뇨 노인의 혈당, 우울,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남궁은하 외. file 관리자 2016.10.20 315
327 (20권)한국의 유적 및 지명을 통해 본 ‘마고’의 원형-석상순 file 관리자 2016.10.20 308
326 (1집)천부경 해석의 문제점(1)-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306
325 (11권)『사기』오제본기와 그의 전거(『대대례기』「제계성」,『공자가어』「오제덕」, 『춘추』, 『국어』,『상서』)사이의 비교분석 (박병섭) file 관리자 2016.10.20 299
324 (15권)신라 ‘나얼(奈乙, 蘿井)’*21) 祭天 유적에 나타난 ‘얼(井)’ 사상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288
323 (19권)동양미래예측학 ‘석하명리(奭廈命理)’의 일간(日干) 해석방법에 관한 연구-소재학 file 관리자 2016.10.20 285
322 (22권)홍연진결에 내재된 한국 민간역학의 주제-최정준 file 관리자 2017.03.29 285
321 (20권)小河沿문화유적 출토 ‘人形蚌飾’에 보이는 고조선 복식-박선희 file 관리자 2016.10.20 283
320 (22권)한민족의 문화유전자로 이어진 고조선문화-지양미 file 관리자 2017.03.29 280
319 (18권)‘에너지 집중력 스톤(Stone)’을 활용한 자석놀이가 초등학생의 집중력과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권택환 신재한 file 관리자 2016.10.20 276
318 (22권)한자도 우리 글자인가?-논의의 맥락과 그 의의-김영환 file 관리자 2017.03.29 275
317 (7집)[특별기고]주역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초청강연 file 관리자 2016.10.20 274
316 논평) 중국철학에 대비되는 천부경의 특수성과 연구방법론에 대해-천부경에 나타난 도가 도교 사상을 읽고 (선도문화 13권-임채우) file 관리자 2017.04.13 273
315 (16권)안중근의 종교사상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신운용 file 관리자 2016.10.20 271
314 (18권)대종교 설립초기 일제의 탄압과 대응 양상-이숙화 file 관리자 2016.10.20 271
313 (21권)대종교의 삼신일체론-삼국유사와 비교- -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269
312 (6집)박병섭, 삼성기 전 상하편에 숨겨진 사실들 (박병섭) file 관리자 2016.10.20 264
311 (20권)규원사화 연구성과와 과제-신운용 file 관리자 2016.10.20 26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