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선도문화 제31권>

 

이 글은 한반도에서 출토된 동경과 관련하여 일정 수준의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방제경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념과 계보 및 형식분류 등 종합적 이고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이에 삼한시기에 한정하여 지금까지 확인된 방제경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한반도 방제경의 출현과 변천과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방제경(倣製鏡)이란 용어는 대체로 기원전후한 시기에 중국의 한경(漢鏡) 을 모본(模本)으로 이를 모방하여 만들어 일명 ‘본뜬 거울’이라고 설명된다. 특히 기원 전후에서 3세기 이전의 삼한시기에 걸쳐 한반도 영남지역에서 주로 제작되었는데 낙동강 유역인 대구, 영천, 경주, 김해지역으로 변ㆍ진 한의 유력한 소국에서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삼한의 발전과정에서 대외교류는 하나의 중요한 축으로, 기원 전후에서 3세기 이전까지 변ㆍ진한에서 제작된 방제경은 중국과의 관계 속에서 시기 별로 제작양상에도 영향을 미쳤다. Ⅰ기는 1세기 전후 사로국이 초기국가로 성장하던 시기로, 낙랑군으로부터 유입된 한경을 모방하여 대구, 영천지역 에서 재지화한 초기 중권문계와 연호문계인 ⅠA1∼ⅠA4, ⅡA식이 처음 출현하게 되었다. Ⅱ기는 1세기 후엽에서 2세기 전엽으로 사로국을 대신하 여 경남 남해안 일대에 걸쳐 성장한 변한에서 등장하게 된다. 후한경의 영향 을 받아 새로운 변화를 준 연호문계의 ⅡB, ⅡC식이 유행하는데 김해지역 구야국의 독창적인 요소가 합쳐진 창작품이라 할 수 있다. Ⅲ기는 2세기 중엽에서 후엽까지로, 동북아지역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 방제경은 나름대 로 문양과 제작기법 등에 변화를 보여준다. 이전의 ⅡB와 ⅡC식이 존속하지 만 새롭게 창조된 삼한식 방제경의 진일보한 특징을 보인다. 이후 국제교역 을 통해 구야국이 경제적으로 성장하자 신분과 경제적 부를 표시하는 후한 경이 새로운 상징으로 대체되며 방제경은 사라지게 되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3 (제28권-특별논문)1930년대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이승휴와 제왕운기에 대한 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20.03.19 1632
342 (32권)박덕규--임나 7국의 위치에 대한 재론 file 관리자 2022.03.19 1632
341 (33권)유태용--한국 청동기시대 제의유적의 검토: 환구유구와 환상열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631
340 (제28권)고전(古典)에 담겨있는 꿈과 해몽에 대한 고찰/조규문 file 관리자 2020.03.19 1629
339 (제28권)현대문명의 위기와 후천개벽 사상의 포스트모던적 함의/김철수 file 관리자 2020.03.19 1626
338 [34권]후기구석기의 후반기, 유럽지역 호모사피엔스의 ‘생명-공생문화’ |정경희 file 관리자 2023.03.19 1626
337 (33권)신혜숙--명상 체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통합적 사고 체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625
336 (32권)윤병모--고조선의 패수와 왕검성 file 관리자 2022.03.19 1624
335 (제28권-특별논문)이승휴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 이해/이경룡 file 관리자 2020.03.19 1610
334 (제28권)살풀이의 기원적 의미 재고-화랑과 화랭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정혜원 file 관리자 2020.03.19 1608
333 (제28권-특별논문)고려 중, 후기 역사 서술문체의 다변화와 이승휴의 선택/심경호 file 관리자 2020.03.19 1602
332 (33권)임비호--팔만대장경 보전의 홍익생태학적 함의 file 관리자 2022.10.12 1602
331 (32권)송옥진--훈민정음 해례(解例)와 천부경(天符經)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file 관리자 2022.03.19 1600
330 <27권>한민족 삼원론적 사유구조연구-박태봉 file 관리자 2019.11.01 1596
329 <27권_특별강연>한국선도 신인합일 전통의 현대적 계승-만월도전 file 관리자 2019.11.01 1596
328 (30권)해방공간(1945년-1947년)의 개천절 봉축 행사와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21.05.28 1592
327 (30권)일제시대 민족종교의 조직구성과 근대성 - 보천교를 중심으로--김철수 file 관리자 2021.05.28 1592
326 (30권)서학이 근대 민중종교운동에 미친 영향 - 민간 예언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21.05.28 1591
325 (30권-특별논문)춘천 중도유적 보존을 위한 시민운동 과정과 방향 연구--김영숙 file 관리자 2021.05.28 1590
324 (25권_특별)어떻게 용서할까? 효과적인 용서의 이해와 전략 - 김광수 file 관리자 2022.05.18 158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