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선도문화 제30권>

 

LEGOLAND KOREA Project 개발사업과 관련하여 2011년부터 2012년 까지 춘천 중도유적에 대한 시굴조사가 있었다. 2011년 시굴조사를 통해 중도유적의 전체적 양상이 파악되었고, 2013년 10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총 600,522㎡의 면적에 대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레고랜드 개발사업과 관련하여 시⋅발굴에 대한 약식 보고서가 존재한다. 약식 보고서를 보면 중도유적에 대한 시굴 및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은 총 8,025점으로 이 중 유구에서 출토된 유물이 7,940점이다. 유물 중 일부는 복토보존과 기록 보존이라는 미명하에 다시 묻혔고, 소수의 유물은 이전되어 잡석으로 존재 하거나 박물관 전시를 위해 이전보존 하고 있다. 보존이라는 관점에서 중도유적 발굴 내용을 살펴보면 국내 발굴은 1977년 이후 지표조사를 통해 알려졌고, 제대로 된 발굴조사는 1980년 국립중앙박 물관 발굴조사부터다. 특히 2010년∼2011년에 걸쳐 이루어진 4대강 살리기 사업 하중도 제방공사 구간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원일보 레고랜드 기사, 문화재청 매장분과 위원회 회의록, 도의회 회의록을 열람해보면 상이한 점을 찾을 수 있다. 먼저 문화재청 회의록을 살펴보면, 도의 투자 유치법에 따라 레고랜드 테마 파크 사업을 추진하려고 하였고, 문화재청과 도의회는 개발이라는 도의 입 장에 손을 들었다고 말할 수 있다. 중도유적 보존을 위한 시민단체는 중도유 적 보존을 우선 하였으므로 양쪽이 대치하는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 물론 도가 주도하면서 지역주민은 경제살리기 프로젝트가 먼저라는 인식이 강하 다. 이에 반하여 2015년부터 소수의 역사문화 단체의 시민운동이 명맥을 유지하며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 일본은 1981년∼ 1989년 개발사업으로 진행되던 사가현 지역을 여러 과정을 거치며 요시나 가리 유적을 보존하였다. 일본이 유적을 지켜낸 것은 언론과 학자들이 함께 노력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도 춘천 중도유적을 지키면서 경제 살리는 길을 찾아야 한다. 대안으로 시민단체의 보존운동 과정을 살펴보고 방향성을 제시하여 중도유적 보존을 하고자 하였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0 (32권)송옥진--훈민정음 해례(解例)와 천부경(天符經)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file 관리자 2022.03.19 85
329 (32권)박덕규--임나 7국의 위치에 대한 재론 file 관리자 2022.03.19 99
328 (32권)윤병모--고조선의 패수와 왕검성 file 관리자 2022.03.19 84
327 (32권)정경희--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의 옥⋅석기 조합 연구 file 관리자 2022.03.19 80
326 (32권)조덕제--한뫼 안호상의 회고록을 통해서 본 민족주의와 파시즘론 재고(再考) file 관리자 2022.03.19 68
325 (32권)김광린--지구화, 지구시민, 그리고 홍익인간사상 : 상생과 조화의 지구촌을 향하여 file 관리자 2022.03.19 67
324 (31권)홍익인간사상과 홍익가족문화-고구려의 서옥제를 중심으로/이용수 file 관리자 2021.09.26 137
323 (31권)고대 평양의 위치를 통해서 본 발해 중경현덕부의 위치에 관한 연구/민성욱 file 관리자 2021.09.26 162
322 (31권)삼한시기 방제경(倣製鏡)의 형식과 변천과정-연구사 검토를 중심으로/홍인국 file 관리자 2021.09.26 99
321 (31권)풍류화랑의 도덕교육 활용에 관한 기반 연구/신동의 file 관리자 2021.09.26 71
320 (31권)한국 민족사학의 원형, ‘선도사학’/소대봉 file 관리자 2021.09.26 98
319 (31권)한국선도의 성통⋅공완 전통으로 바라본 ‘선교’의 실천운동/최명희 file 관리자 2021.09.26 66
318 (31권)한국선도의 지감⋅조식⋅금촉 수행 전통으로 바라본 ‘선교’의 제천수행/조채영 file 관리자 2021.09.26 134
317 (31권)한국선도의 신인합일 전통으로 바라본 ‘선교’의 신인합일론/김윤숙 file 관리자 2021.09.26 125
316 (31권)근대 이후 한국선도 전통의 회복 과정과 ‘선교’ 등장/석상순 file 관리자 2021.09.26 54
315 (31권)동북아 고고학에 나타난 배달국의 선도제천문화와 민족종교의 원형 회복/정경희 file 관리자 2021.09.26 88
314 (30권)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화인식 변화의 필요성 - 한국선도(韓國仙道)에 나타난 노년초월 개념을 중심으로--김일식 file 관리자 2021.05.28 78
313 (30권)일제시대 민족종교의 조직구성과 근대성 - 보천교를 중심으로--김철수 file 관리자 2021.05.28 65
312 (30권)해방공간(1945년-1947년)의 개천절 봉축 행사와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21.05.28 51
311 (30권)서학이 근대 민중종교운동에 미친 영향 - 민간 예언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21.05.28 5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