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소남산문화 2기(B.C.7200년∼B.C.6600년경)의 적석단총인 옥기묘⋅제1묘지⋅제 2묘지 중에서도 가장 이른 시기의 단총은 제1묘지  Ⅲ구역의 적석묘이다. 이곳에서 출토된 옥⋅석기의 주요 기종은 ‘벽⋅부⋅관류(관⋅석무저통형기)’였다. 특히 관류중 석무저통형기는 훗날 요서지구 홍산문화의 도무저통형기로 이어졌다. 일반 기종은 도구류 ‘부⋅촉’, 기본 기종은 ‘부’였다. 또한 구석기 후기 말타문화의 ‘벽+도구류 권장(골 모)’이 ‘벽+도구류 권장(부)’으로 이어졌다. 
제1묘지 Ⅲ구역의 적석묘보다 늦은 시기의 단총이자 소남산유적의 최상급 단총인 옥기묘의 4대 옥⋅석기 기종은 ‘[벽류(벽⋅환⋅결)+도구류(부⋅비⋅촉 위주)]+관류+ 태아형기’였다. 제1묘지 Ⅲ구역의 주요 기종인 ‘벽⋅부⋅관류’가 옥기묘에서도 ‘벽류 (벽⋅환⋅결)⋅도구류(부⋅비⋅촉 위주)⋅관류’로 이어졌다. 더하여 벽과 함께 구석기 시대 이래의 대표적인 생명표상물이었던 태아형기도 나타났다. 또한 말타문화의 ‘벽+ 도구류 권장(골모)’이 제1묘지 Ⅲ구역의 ‘벽+도구류 권장(부)’으로 이어졌다가, 옥기묘 의 ‘벽류(벽⋅환⋅결)+도구류 권장(부⋅비)’으로 이어졌다. 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소 재나 형태는 달라져갔지만 ‘벽류+도구류 권장’의 기본 구도에는 변함이 없었다.
소남산문화의 4대 옥⋅석기 기종에는 ‘천⋅지⋅인 삼원조화론’이라는 선도의 세계 관, ‘성통→공완→조천론’이라는 선도의 생사관, ‘지감⋅조식⋅금촉론’이라는 선도의 수행관이 반영되어 있었다. 특히 ‘벽류⋅도구류⋅태아형기’ 3종은 단군조선에 이르러 ‘청동거울⋅청동검⋅태아형기(또는 청동방울)’의 청동제 제천의기 3종, 곧 ‘천부삼인’ 으로 전승되었다. 이렇듯 소남산 옥⋅석기문화는 동북아 신석기∼청동기 옥⋅석기문화 로 면면히 계승, 동북아 신석기∼청동기 옥⋅석기문화의 원형을 소남산문화로 바라보게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32권)정경희--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의 옥⋅석기 조합 연구 file 관리자 2022.03.19 1636
102 (32권)조덕제--한뫼 안호상의 회고록을 통해서 본 민족주의와 파시즘론 재고(再考) file 관리자 2022.03.19 1527
101 (33권)신혜숙--명상 체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통합적 사고 체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597
100 (33권)유태용--한국 청동기시대 제의유적의 검토: 환구유구와 환상열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601
99 (33권)이근철--「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총론 개정방안 연구」에 대한 비판: 교육이념 ‘홍익인간’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540
98 (33권)이장웅--한국 고대 웅녀(熊女) 신앙의 전개와 국모신(國母神) 관념의 변화 file 관리자 2022.10.12 1628
97 (33권)임비호--팔만대장경 보전의 홍익생태학적 함의 file 관리자 2022.10.12 1574
96 (33권)정경희--흑수백산지구 중기 신석기 옥석기문화의 양대 중심과 소남산문화류의 옥석기 조합 file 관리자 2022.10.12 1548
95 (33권)지양미--부여 분국(分國) 과정 고찰 file 관리자 2022.10.12 1663
94 (33권_특별)석상순--‘한국선도⋅중국도교⋅한국도교’ 구분론: 한국선도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방향 제안 file 관리자 2022.10.12 1623
93 (33권_특별)소대봉--동아시아 선도문화 연구동향과 ‘한국선도’⋅‘한국도교’ 개념의 재검토 file 관리자 2022.10.12 1533
92 (35권)과소결정과 증명의 이데올로기 |이승종 file 관리자 2024.01.27 1472
91 (35권)뇌기능 조절의 관점에서 바라본 선도 수행 : 지감⋅조식⋅금촉을 중심으로 |신혜숙 file 관리자 2024.01.27 1455
90 (35권)양자(量子)시대 세계관의 변경에 대한 동양 형이상학에서의 이해 : 부(附). 상수학적(象數學的) 기(氣)의 존재와 운동을 중심으로 |민영현 file 관리자 2024.01.27 1451
89 (35권)양주동 소장본 규원사화의 발견과 그 의미 : 판본의 진위와 연대 문제를 중심으로 |임채우 file 관리자 2024.01.27 1468
88 (35권)일제 강점기 중국에서의 개천절 기념식 연구 |조남호 file 관리자 2024.01.27 1463
87 (35권)한국 ‘선도무예’의 현대적 계승과 ‘단무도’ |석혜인 file 관리자 2024.01.27 1469
86 (35권)해양오염, 기후위기, 그리고 홍익인간의 비전 : 지구시민의식의 형성을 중심으로 |나종팔 file 관리자 2024.01.27 1463
85 (35권)「계사상」 제10장의 역철학적(易哲學的) 고찰 : 정역(正易)을 중심으로 |이종숙⋅임병학 file 관리자 2024.01.27 1453
84 (3집)「蘇塗經典本訓」에 나타난 三․一의 의미맥락(context)과 天符經의 철학사상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195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