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본 연구는 우리민족 풍류활동의 전개양상을 변별하고 향유처에 따
른 풍류의 다양한 의미를 구명하는 것으로서, 고찰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전통문화에서 풍류의 기원은 소도의 제천문화에
서 찾을 수 있다. 고대국가의 의례는 농경제천의 축제로 전개됨에 따
라 제의를 구성하는 집단적 신명의 놀이는 원시형태의 풍류로 규정
되며, 화랑도로 전승된 풍류는 산수를 순례하며 심신을 단련하는 것
이었다. 그러한 유오산수의 수련법은 후대에 자연에 대한 심미적 완
상유풍으로 이어갔으나, 조선시대에는 귀족적 탐미로 변모되었다. 조
선시대에 이르러 선비들은 은둔문사 또는 신선을 상징하는 탈속적
놀이를 통해 풍류를 실현했다. 이들이 즐긴 풍류의 행위는 은일 고사
의 행위 중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각자의 취미생활이나 친목 도모의
소재로 애완된 것이었다. 구체적인 풍류의 행위로는 바둑을 두거나,
관수, 관폭, 탁족 등의 은일적 소일활동, 아집의 모임을 통해서 시,
서, 화를 즐기는 행위, 악기를 직접 연주하거나 연주를 들으면서 아
취를 즐기는 행위 그리고 차를 마시면서 자신들을 신선과 동일시하
는 방법을 통해 풍류를 즐겼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 (18권)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1)-최근 논쟁에서의 몇가지 문제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53
102 (20권)‘단군’ 인식을 통해 본 오리엔탈리즘-이장희 file 관리자 2016.10.20 253
101 (11권)[특집]환단고기의 역사 세계와 고성 이씨 문중 (박성수) file 관리자 2016.10.20 252
100 (23권)요하문명의 문화기호론적 탐색-최정숙 file 관리자 2019.04.22 252
99 (7집)선도수련에서의 뇌 개념의 의의 (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50
98 (10권)韓國의 仙道와 天孫文化 (박성수) file 관리자 2016.10.20 249
97 (14권)최치원 사상의 종착점과 ‘풍류’의 발현-신운용 file 관리자 2016.10.20 249
96 (15권)호흡명상 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뇌파특성 비교 연구-좌성민 file 관리자 2016.10.20 249
95 (15권)선조의 주역과 참동계 연구, 그리고 동의보감-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249
94 (23권)감정노동종사자의 명리선천적 직업체질이 직업안녕감에 미치는 영향-함혜수,김기승 file 관리자 2019.04.22 249
93 (9권)고구려 신화의 성립과 소서노 배제의 정치사회학 (권도경) file 관리자 2016.10.20 248
92 (17권)자연과학에서 바라본 생명전자의 발견과 새로운 문명시대의 시작-한정균 file 관리자 2016.10.20 248
91 (12권)치우천왕과 운사 헌원 사이의 관계 (2). (박병섭) file 관리자 2016.10.20 247
90 (14권)청학집과 규원사화에 보이는 한국도교에 대한 고증 연구-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47
89 (14권)동학의 수도(修道)와 주문(呪文) 수련의 의미-김용휘 file 관리자 2016.10.20 247
88 (15권)한국 선도문화의 대체의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檀君史話를 중심으로--정유창 file 관리자 2016.10.20 247
87 (17권)[특집]국학의 관점에서 본 역사교육의 문제에 관한 연구-고조선을 중심으로- -김진경 file 관리자 2016.10.20 247
86 (9권)환단고기위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대석) file 관리자 2016.10.20 246
85 (9권)치우천왕의 금속무기 제작과 청동기시대 편년 (박정학) file 관리자 2016.10.20 246
84 (10권)계보위축변천과정, 왕호신구 토픽 그리고 환단고기 신 진위검토방법(2) (박병섭) file 관리자 2016.10.20 246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