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대한 하마다 고사쿠의 논문-임찬경
|
관리자 | 2019.04.23 | 77 |
122 |
예(濊)와 단군의 형태 (정호완)
|
관리자 | 2016.10.21 | 87 |
121 |
요서지역 거란 전탑에 관하여-백만달
|
관리자 | 2019.11.01 | 43 |
120 |
요서지역 흥륭와문화기 마고여신상의 등장과 ‘마고제천’-정경희
|
관리자 | 2017.03.29 | 259 |
119 |
요양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관한 두 편의 논문-박지영,임찬경
|
관리자 | 2019.04.23 | 42 |
118 |
요하문명의 문화기호론적 탐색-최정숙
|
관리자 | 2019.04.23 | 36 |
117 |
용서하는 인간-뇌교육적 인간학을 위한 시론(試論)-이승호
|
관리자 | 2018.10.01 | 85 |
116 |
용서하는 인간-뇌교육적 인간학을 위한 시론(試論)-이승호
|
관리자 | 2019.04.23 | 18 |
115 |
원불교 丹田住禪의 실제와 無時禪의 관계(김성장)
|
관리자 | 2016.10.21 | 90 |
114 |
윷의 기원문제와 말판의 철학적 의미 (임채우)
|
관리자 | 2016.10.21 | 156 |
113 |
이승휴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 이해/이경룡
|
관리자 | 2020.03.19 | 28 |
112 |
이충익 <초원담로>의 수양론 체계에 관한 연구 (김형석)
|
관리자 | 2016.10.21 | 130 |
111 |
이희승의 [딸깍발이]에 나타난-‘과학적’ 국어학과 연관하여-김영환
|
관리자 | 2016.10.21 | 270 |
110 |
일본신도 신악가(神樂歌)의 신격(神格)연구-아지메(阿知女)를 중심으로/이강민
|
관리자 | 2020.03.19 | 39 |
109 |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의 화랑도 연구- 일본 학자들의 화랑연구 비판을 통한 -조남호
|
관리자 | 2019.04.23 | 40 |
108 |
일제 강점기 어천절 기념식과 독립운동/조남호
|
관리자 | 2020.10.11 | 21 |
107 |
일제감점기 강화의 마니산 참성단과 삼랑성에 대한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연구-조남호
|
관리자 | 2019.11.01 | 29 |
106 |
일제하 식민권력의 종교정책과 普天敎의 운명-김철수
|
관리자 | 2016.10.21 | 151 |
105 |
일제하 항일운동 배경으로서의 단군의 위상(김동환)
|
관리자 | 2016.10.21 | 99 |
104 |
자연과학에서 바라본 생명전자의 발견과 새로운 문명시대의 시작-한정균
|
관리자 | 2016.10.21 | 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