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탄압을 받은 조선어학회의 항일투사들은 해
방 이후 새나라 건설 작업에 참여하였다. 항일 투사들은 통일 민족국
가 건설 운동에 참여하였고, 민주주의 국가 건설에 기여하였다.
조선어학회의 일부 항일투사들은 해방 이후 분단 정권의 수립을
거부하고 통일 민족국가를 건설하고자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운
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대다수의 조선어학회 인사들
은 민족주의자로서의 입장을 유지하며 민주주의 국가 건설에 기여하
는 합리적 보수주의자로서 활동하였다. 이렇게 해방 이후 조선어학
회의 정치 지형은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일제로부터 탄압을 받은 33
명 가운데 4명을 제외하면, 좌우합작 노선의 인사(6명), 합리적 보수
인사(22명), 극우 인사(1명)로 나뉘어져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선어학회 인사의 대다수는 자본주의와 자유민주주의와 평화통
일을 추구하는 합리적 보수주의자였다. 이들은 대한민국을 민주주의
국가로 만드는데 기여하였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3 (20권)근대 유교지식인의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김동환 file 관리자 2016.10.20 264
162 (8권)윷의 기원문제와 말판의 철학적 의미(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263
161 (15권)한국종교사 속에서의 단군민족주의-대종교를 중심으로- -김동환 file 관리자 2016.10.20 263
160 (2집)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단군조선 인식. 강병수 file 관리자 2016.10.20 262
159 (12권)한국선도 수행의 실제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261
158 (19권)長壽마을의 自然的 立地에 대한 風水的 考察-고제희 file 관리자 2016.10.20 260
157 (1집)한의 개념에 관한 연구-천부경의 일(一)을 중심으로- -이근철 file 관리자 2016.10.20 259
156 (14권)이충익 <초원담로>의 수양론 체계에 관한 연구-김형석 file 관리자 2016.10.20 259
155 (4집)密陽 嶺南樓를 통해 본 韓國의 仙道文化 I 윤병유 file 관리자 2016.10.20 257
154 (15권)부여 건국과정과 도읍지 위치에 관한 문헌연구-지양미 file 관리자 2016.10.20 257
153 (23권)고려 윤관이 개척한 동북9성의 위치 연구-이인철 file 관리자 2019.04.22 255
152 (2집)天符經 硏究史 小考. 이형래 file 관리자 2016.10.20 254
151 (2집)천부경의 無와 과정철학. 이찬구 file 관리자 2016.10.20 254
150 (15권)갈석산(碣石山)의 위치 비정(比定)에 관한 연구-김진경 file 관리자 2016.10.20 253
149 (1집)仙道史書에 나타나는 고구려 多勿主義에 대한 연구-김동환 file 관리자 2016.10.20 252
148 (13권)김성수의 친일의식 형성과 전개 (신운용) file 관리자 2016.10.20 252
147 (16권)상상과 유추를 통한 문학치료의 성취-배정순 file 관리자 2016.10.20 252
146 (24권)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의 화랑도 연구- 일본 학자들의 화랑연구 비판을 통한 -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252
145 (3집)천부경의 기호학적 의미 (선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251
144 (15권)한국선도의 정기신론 소고-정(精)에 관하여-박진규 file 관리자 2016.10.20 251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