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선도문화 제16권

 

윷놀이는 한국인의 뜻과 사유체계를 담고 있는 한국 고유의 전통
놀이로 그 철학적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易學的 입장에
서 논의되어 왔다. 즉, 윷을 만드는데 윷가락은 박달나무 한 가지를
꺾은 것은 太極을 상징하고, 이를 반으로 나누는 것은 兩儀(陰陽)가
되고, 다른 한 가지를 반으로 나누어 네 개의 윷가락이 된 것은 四象
이 되고, 이 윷가락을 던져서 나오는 경우의 수가 다섯이니 五行을
상징하고, 또 윷말은 四象으로 나누어진 것이 양편이 되니 八卦를 상
징된다고 하였다.

正易은 先秦易學인 周易을 철저히 계승하면서 天道인 天之曆
數를 干支度數와 數理체계인 河圖洛書로 표상하고 있기 때문에 정
역의 입장에서 윷놀이를 이해할 때 그 철학적 의미가 더욱 분명하
게 드러난다.
윷은 우주 만물의 生長成의 변화와 인간 삶의 흥망성쇠가 농축되
어 있는 우리의 전통놀이로 정역이 표상하는 역학의 학문적 표상체
계를 통해 그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특히 윷과 정역는
모두 근본적으로 數理體系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윷놀이
자체로 易學的 의미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먼저 윷놀이를 구성하는 3가지 요소인 윷가락과 윷말 그리고 윷판
은 天地人 三才之道로 이해할 수 있다. 윷가락은 天道에 대응되는데
그 수가 4개인 것은 天道의 四象작용을 상징하며, 윷말은 人道로 땅
에서 하늘의 뜻을 대행하는 존재인 인간에 대응되는데 실존적 존재
인 인간은 음양작용이 기본이 되어 四象作用을 하기 때문에 8개의
윷말이 윷판에서 작용하는 것이다. 또 윷판은 地道에 대응되는데 地
道는 天道가 드러나는 장으로 구체적인 공간 속에서 전개되기 때문
에 땅에 29점을 찍어서 그린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윷을 구성하는 윷가락과 윷말 그리고 윷판은
정역이 밝히고 있는 易學의 학문적 표상체계인 干支度數의 원리를
그대로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3 (1집)백봉신사(白峯神師)의 도통전수(道統傳授)에 관한 연구-조준희 file 관리자 2016.10.20 324
182 (6집)선가 자료 청학집 의 자료적 검토(김성환) file 관리자 2016.10.20 324
181 (17권)[특집]<고등학교 한국사>에 나타난 삼국∼고려시대의 국학사상 -양은용 file 관리자 2016.10.20 319
180 (9권)철령위 위치에 대한 재검토 (복기대) file 관리자 2016.10.20 318
179 (4집)密陽 嶺南樓를 통해 본 韓國의 仙道文化 I 윤병유 file 관리자 2016.10.20 317
178 (20권)식민권력의 종교정책과 普天敎의 운명-김철수 file 관리자 2016.10.20 315
177 (20권)고유사상으로서의 風流道와 韓國仙道의 상호연관 및 그 實體에 관한 연구-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314
» (16권)正易에서 본 ‘윷놀이’의 易學的 의미-임병학 file 관리자 2016.10.20 313
175 (2집)천부경의 연구사 정리(2)-기독교와 불교적 해석-. 조남호 file 관리자 2016.10.20 312
174 (1집)中國道家와 道敎 그리고 韓國 仙의 사상에 관한 비교연구-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308
173 (2집)天符經의 數理哲學과 그 形而上學. 민영현 file 관리자 2016.10.20 308
172 (3집)천부경의 기호학적 의미 (선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307
171 (18권)國學氣功프로그램이 어르신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김일식,김흥걸,신혜숙,서호찬 file 관리자 2016.10.20 306
170 (19권)해방 이후 조선어학회의 정치 지형-박용규 file 관리자 2016.10.20 305
169 (19권)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2)-최근 논쟁에서의 몇가지 문제를 중심으로-임채우 file 관리자 2016.10.20 302
168 (24권)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확대와 백두산의 ‘仙道 祭天’ 전통-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302
167 (13권)한국선도 수행으로 바라본 중국도교의 內丹 수행 (정경희) file 관리자 2016.10.20 301
166 (12권)한국 신종교의 선도사상 연구 (나권수) file 관리자 2016.10.20 299
165 (6집)한국 상고사 연구에 있어서 고고학 응용에 관하여-요서 지역 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복기대) file 관리자 2016.10.20 298
164 (2집)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단군조선 인식. 강병수 file 관리자 2016.10.20 292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