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본 연구는 영가무도의 계승현황을 파악하고 대중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영가무도를 주제로 한 논문 37편을 대상으로 문헌고찰을 하고 
연구동향을 파악했다. 그리고 인터넷 검색 사이트를 통해 영가무도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였고 관련자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가무(歌舞)를 즐겼는데 고대에 행해졌던 춤과 노래가 바로 
영가무도이다. 영가무도의 전통은 풍류사상과 함께 신라의 화랑으로, 조선의 선비정신 
으로 이어져 내려왔다. 영가무도는 조선시대 김항의 창도(唱導)에 의해 새롭게 알려지면 
서 계보가 시작된다. 김항 이후 영가무도는 김영태로 계승되었고, 김영태에서 박상화로, 
박상화에서 김호언⋅이애주로 계승되었다. 그리고 현재 영가무도의 맥은 김호언에서 
정유창으로 계승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 영가무도를 주제로 연구 활동이 다수 있었지만 2007년을 정점으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학계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서도 널리 알려지지 못하고 몇몇 
수련자와 연구자들에 의해 힘겹게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영가무도는 한민족의 정서를 
간직한 고유의 분야이며 문화재적 가치 또한 충분하다.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대중화를 위한 작업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렇지만 전통문화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계승하는 일은 너무나 중요하고 당연한 일이다. 물론 단순히 보존을 위한 계승이 
아니라 필요성에 의한 계승이 되어야 할 것이다.
영가무도의 대중화를 위해서 크게 세 가지 측면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심신건강 
에 도움이 되는 수련법으로서 ‘생활문화적 측면’, 무대 공연 및 시연에 필요한 ‘예술문화 
적 측면’, 그리고 영가무도의 수련 원리와 효과를 검증하고 정역(正易)과의 이론적 정립 
을 위한 ‘학문적 측면’이다. 이 외에 영가무도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수련 
프로그램, 영가무도를 보급할 강사 양성, 학교 등 공공기관과의 연계, 체험 학습 기회 
확대, 영가무도 인식을 위한 설문조사, 효과적인 홍보마케팅 등이 언급되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5 <26권>‘과학적’ 국어학의 미망-김영환 file 관리자 2019.04.22 1490
374 <26권>곤륜산과 백두산에 관한 한국의 유선문학과 수근목간 형세론-이경룡 file 관리자 2019.01.15 1487
373 <26권>내 안에서 나를 찾다 : 뇌교육명상 수련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신혜숙 file 관리자 2019.04.22 1350
372 <26권>노화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 성공적 노화에서 인간완성으로-김일식,김계령 file 관리자 2019.04.22 1370
371 <26권>동서양 양자역학에 내포된 교육학적 의미와 교수-학습방법 탐색-이철규,심준영 file 관리자 2019.04.22 1400
370 <26권>전통문화유산과 대체의학의 융복합을 통한 활용 방안-정유창 file 관리자 2019.04.22 1489
369 <26권>홍주의병운동과 독립전쟁의 사회사상사적 의의-김철수 file 관리자 2019.04.22 1336
368 <26권_자료소개>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대한 하마다 고사쿠의 논문-임찬경 file 관리자 2019.04.22 1533
367 <26권_특별논문>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인합일적 전통 계승의 의미-서호찬 file 관리자 2019.04.22 1382
366 <26권_특별논문>남북한의 단군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19.04.22 1507
365 <26권_특별논문>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Ⅰ)-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1409
364 <26권_특별논문>풍류도의 현대적 계승, ‘참 멋’의 인간관으로 -범부 김정설의 풍류도적 음악관을 중심으로-박정련 file 관리자 2019.01.15 1388
363 <27권>8세기경 평양성의 위치 추정-고광진 file 관리자 2019.11.01 1744
362 <27권>국권회복(1945)이전 '3.1혁명'에 대한 평가-인식과 그 의미-신운용 file 관리자 2019.11.01 1600
361 <27권>단군 48대 왕조사 자료발굴과 그 의의-임채우 file 관리자 2019.11.01 1791
360 <27권>사제로서의 단군과 무당의 역할연구-김영숙 file 관리자 2019.11.01 1617
359 <27권>요서지역 거란 전탑에 관하여-백만달 file 관리자 2019.11.01 1665
358 <27권>일제감점기 강화의 마니산 참성단과 삼랑성에 대한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19.11.01 1619
357 <27권>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II)-정경희 file 관리자 2019.11.01 1590
356 <27권>한국선도와 뇌교육-삼일신고를 중심으로-이승호 file 관리자 2019.11.01 167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